세계일보

검색

‘위기의 석화’ 서산과 ‘철강 관세 폭탄’ 포항,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

입력 : 2025-08-28 14:43:00 수정 : 2025-08-28 14:42:59
박유빈 기자 yb@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석유화학 산업단지가 있는 충남 서산, 철강업의 도시 경북 포항이 산업 위기로 지역경제까지 위험에 처하며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정부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서산시와 포항시는 이날부터 2027년 8월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관리된다.

 

경북 포항 한 철강회사 제품창고에 열연코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석유화학과 철강은 전 세계적인 공급 과잉으로 저가 경쟁에 시달린다는 공통점에 있다. 여기에 국내뿐 아니라 중국 등 해외도 건설 경기가 침체하면서 수요는 침체됐다. 철강은 대미 수출 시 부과되는 품목관세가 50%인 악재도 겹쳤다.  

 

충남도와 경북도는 각각 산업이 현저하게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신청서를 검토 후 서산·포항 현지 실사 뒤 이날 심의위를 개최했다.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실무 협의 결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앞서 전남 여수시도 석유화학 산업 위기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와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대출을 제공하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비율은 상향된다. 정책금융기관은 중소기업에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으로 협력업체와 소상공인 대상 우대보증 프로그램을 출시한다. 산업 위기를 맞은 지역의 협력업체와 기타 전·후방 중소기업이 버틸 수 있도록 금융 지원을 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같은 이차보전뿐 아니라 시제품 제작, 연구개발(R&D) 관련 기술지도, 중장기 사업화 컨설팅 등 기술·사업화 지원도 실시하며 맞춤형 교육 프록램과 실습을 제공하는 등 인력양성도 정부가 돕는다.

 

산업부는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신설된 지역산업위기대응 사업을 통해 산업위기지역 소재 관련 기업의 대출 부담을 낮추기 위함”이라며 “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