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춘(사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나가사키현본부 단장은 지난 8일 나가사키 시내 사무실에서 세계일보와 만나 “자료관은 처음 열 때 가해 역사를 통해 피해를 본 사실을 잘 전시해 세계적인 평가를 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군함도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 ‘전체 역사를 명기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고 있고, 나가사키시 역시 관광에 도움이 안 되는 이미지는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것 같다”며 “최근에도 한국 정부가 문제 제기를 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는데, 앞으로도 계속 목소리를 내 주길 교포 사회는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 단장은 일본 내무성 자료를 보여주며 “8800명이던 나가사키현 한반도 출신 인구가 1939년 징용령 시작 후 6년간 6만명가량 늘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그러나 군함도 등을 근대 산업유산으로 미화하면서 강제동원 사실은 감추는 데 급급하다. 강 단장은 “예전에 군함도 안내인이 ‘한국인이 일하고 있었다’고 말했다가 우익 세력 공격을 받은 뒤 일절 그런 설명이 사라졌다”며 “군함도 관련 시설(산업유산정보센터)을 나가사키가 아닌 도쿄에 만들고, 10살이 되기 전 어린 시절을 군함도에서 보낸 사람의 증언을 한반도 출신 노동자 차별과 학대 부정의 근거로 내세우는 것도 이해 안 되는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1945년 8월9일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으로 조선인도 약 1만명 희생됐다. 교포 사회의 숙원이던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는 건립 추진 27년 만인 2021년에야 세워졌다. 행복실현당 등 일본 우익의 반대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비석 높이를 낮추는 등 우여곡절도 겪었다. 일본 당국이 징용령에 따른 합법적 동원이었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비석 문구도 ‘강제’ 대신 ‘본인의 의사에 반해’ 징용·동원된 사례가 증가했다는 표현으로 절충됐다.
현재 나가사키현 내 한국계 원폭 1세 생존자는 15명 안팎으로 파악된다. 강 단장은 “매년 피폭일 하루 전(8월8일) 위령제를 하면서 이 사실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며 “왜 이곳 나가사키에서 많은 한국인이 피폭되고 목숨을 잃었는가를 알리고 계승하지 않으면 위령비를 세운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