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충북 괴산군 유색벼 논 그림, ‘한국의 미’ 선사한다

입력 : 2025-08-12 16:15:36 수정 : 2025-08-12 16:15:36
괴산=윤교근 기자 sege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충북 괴산군 논에 유색벼를 이용한 논 그림이 ‘한국의 미’를 선사하고 있다.

 

12일 충북 괴산군 문광면 문광저수지 인근 논에 조선 시대 풍속화가 김홍도의 ‘무동’을 형상화한 논 그림이 모습을 드러냈다. 사리면 꿀벌랜드 인근에는 꿀벌을 채집하는 모습을 논 그림으로 표현했다. 이는 괴산고추축제, 산막이옛길, 괴강관광지, 문광저수지 등과 연계해 오는 10월 수확기까지 관람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12일 충북 괴산군 문광면 문광저수지 인근 논에 유색벼를 활용한 논 그림 김홍도 ‘무동’의 형상이 선명히 드러나고 있다. 괴산군 제공

군은 2011년 ‘유색벼를 이용한 논의 그림 형성방법’(특허 제10-1075121호) 기술로 논에 그림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기술은 황도(노란색), 자도(자주색), 적도(붉은색), 백도(흰색), 일반벼(녹색) 등의 벼 품종을 이용한다. 밑그림을 그리고 그에 맞춘 색의 벼를 심는 방식이다.

 

논 그림은 농촌의 새로운 소득원 개발과 관광지 연계 등 지역 활성화 고민에서 시작했다. 축제, 인근 관광지 등과 함께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논 그림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전망대도 설치했다.

 

군은 2023년 김홍도의 ‘씨름’을 논 그림으로 표현했다. 김홍도가 정조 때 연풍 현감으로 부임하면서 괴산과 인연을 맺은 탓이다. 승정원일기에는 김홍도가 정조 초상 제작에 참여한 공로로 1791년 12월부터 3년여간 연풍 현감을 지냈다고 기록됐다.

 

괴산의 논 그림은 전국적으로도 인기다. 올해는 경기 여주시와 강원 철원군에 현지 맞춤형 논 그림을 조성하기도 했다. 이날 현장을 방문한 송인헌 괴산군수는 “논 그림은 농업과 예술이 결합한 괴산군만의 특별한 경관 사업으로 전국 지자체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농업인과 협력해 더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등 농촌 활성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괴산=윤교근 기자 sege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