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커피 사줄게” 美 관세폭탄 맞은 브라질에 손 내민 中

입력 : 2025-08-05 18:44:38 수정 : 2025-08-05 18:44:37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참깨와 함께 유통업체 문호 개방
‘50% 고율관세 압박’ 美 견제 전략

중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50% 고율 관세부과 영향으로 미국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는 브라질산 커피에 대해 수입 문호를 확대했다.

 

사진=EPA연합뉴스

브라질 주재 중국대사관은 4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브라질 커피 수출업체 183개 사에 대한 거래를 승인했다. 지난달 30일 발효한 이번 조처는 5년간 유효하다”고 밝혔다. 별도의 게시물에서는 “중국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년에 16잔으로 세계 평균 240잔에 비해 낮지만, 일상생활에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브라질 업계의 눈길을 잡을 만한 메시지를 올렸다. 차를 즐기는 중국은 지난해 브라질산 커피를 93만987포대 수입해 브라질 커피 수입국 중 14번째였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브라질에 50%의 관세를 적용하겠다며 압박하고 있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1년에 6700만∼6800만포대의 커피를 생산하며 세계 시장 1위 점유율(2023년 기준 39%)을 차지하고 있는 브라질의 가장 큰 고객은 미국이다. 이 때문에 브라질에 큰 부담일 수밖에 없는 미국의 압박을 중국이 나서 일부라도 막아주는 셈이 된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가까운 커피 생산국을 놔두고 브라질의 커피에 대거 수출 허가를 내준 것에서 다분히 의도적인 결정임을 읽을 수 있다. 브라질은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에 맞서겠다며 중국 주도로 세를 불려온 신흥경제국 연합체 브릭스(BRICS)의 주요 멤버이기도 하다.

중국은 브라질 참깨 유통기업 30곳의 대중국 수출도 추가로 허가했다. 주브라질 중국대사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브라질 국빈 방문 기간 체결된 협정의 결과로, 현재 승인된 브라질 참깨 유통기업은 총 61곳”이라고 밝혔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