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디지털트윈 등 개발 가속화
삼성전자가 전사 차원의 인공지능(AI) 과제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미래 먹거리인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털트윈 솔루션, 피지컬(물리적) AI 등의 개발에 속도를 내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모바일·가전 등 세트(완성품)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부문은 핵심 전략 과제 전담조직인 ‘이노X 랩’을 신설, 이날부터 운영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이노베이션(Inno)과 트랜스포메이션(X)을 결합한 이름으로, 혁신과 변화를 주도한다는 뜻이 담겼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노X 랩은 AI 시대에 유연한 협업과 빠른 실행을 위한 새로운 조직 모델이다. 전사 차원의 대형 과제, 각 사업부의 도전적 전략 과제를 전담해 단기간 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노X 랩은 △디지털트윈 솔루션 적용 및 확산 △로지스틱스 AI 적용을 통한 물류 운영 모델 혁신 △피지컬 AI 기술을 제조 자동화 추진 △휴머노이드 로봇 핵심기술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과제별로 필요 역량을 가진 인재는 조직간 경계를 넘어 유연하게 선발·충원하는 등 과제 중심의 유기적 협업체계를 갖춰 DX부문의 핵심 역량을 결집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선 이노X 랩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최우선 경영가치인 ‘기술 경쟁력’을 실현할 조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최근 연이어 AI 관련 조직을 신설하며 ‘AI 드리븐 컴퍼니’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5월 DX부문에 ‘AI 생산성 혁신 그룹’을 신설했다. 이노X 랩이 AI 과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AI 생산성 혁신 그룹은 전사 AI 인프라·시스템 구축과 AI 활용 실행 지원, 우수 사례 확산 등 일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