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잎 추출물(Ginkgo biloba)이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인지기능을 보호하고 치매로 진행되는 것을 늦춰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은행잎 추출물은 혈관 확장 개선이 확인된 기능성 원료다.
용인효자병원 곽용택 박사팀은 4일 국제학술지 신경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Neurology)에서 경도인지장애 확진 환자들에게 은행잎 추출물과 표준 인지 개선제를 1년간 투여한 뒤 경과를 비교,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곽 박사는 “이 연구는 혈액 속 치매 병리 물질인 아밀로이드 올리고머(amyloid oligomer)를 측정, 병리적 효과도 확인했다”며 “이는 은행잎 추출물이 단순히 임상적 증상 개선을 넘어 치매의 생물학적 진행까지 변화시킬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전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발병률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치매·알츠하이머병 자체의 진행을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경구용 치료 약물은 전무한 상황이다.
은행잎 추출물은 한국과 중국 등 전통 의학에서 기억력 증진, 노화 관련 인지 저하 완화, 순환 관련 증상 개선 등을 위한 약제로 사용돼 왔다. 현재는 다양한 은행잎 추출물 제제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런 광범위한 사용에도 생체지표를 통해 확진된 경도인지장애환자에게 은행잎 추출물 단독 요법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정확한 치매 진단법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 PET(amyloid PET) 검사에서 경도인지장애로 확진된 64명을 선별, 42명(평균 65.8세)은 1년간 시판 중인 은행잎 추출물 제제(하루 240㎎)를, 22명(평균 68.6세)은 오메가-3 등 표준 인지 개선제를 복용하게 한 뒤 인지기능과 혈액 내 치매 물질 변화 등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은행잎 추출물 그룹은 전원이 K-MMSE와 K-IADL 점수가 유지되거나 향상돼 100%의 치료 반응률을 보였다. 하지만 표준 인지 개선제 그룹은 치료 반응률이 59.1%로 40% 이상이 인지 및 일상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은행잎 추출물 그룹은 한 명도 치매로 진행되지 않았으나 표준 인지 개선제 그룹은 13.6%(3명)가 치매로 진행됐다.

곽 박사는 “은행잎 추출물은 오랜 기간 사용돼 장기적 안전성이 입증된 저렴한 천연물”이라며 “치매 치료 및 지연 효과가 더 명확히 밝혀져 널리 사용되면, 치매 환자와 가족, 그리고 국가 건보재정까지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해외에서도 은행나무잎 추출물로 만든 생약이 가벼운 인지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웨스턴시드니대 NICM 건강연구소는 경도인지장애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은행나무잎 등 추출물로 만든 생약제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임상시험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제네비브 스타이너-림 부교수(인지신경과학)는 “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사람이 치매에 걸릴 위험은 5배 이상 더 높지만 이 장애에 대해 승인된 치료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번 임상시험(2상)에 쓰인 생약제제 싸이뤄퉁(SLT, 塞络通)은 인삼, 은행나무잎과 봄 야생화 샤프란(crocus sativus L.) 등의 추출물로 만들었다.
스타이너-림 부교수는 “12주라는 짧은 치료 기간에도 생약인 싸이뤄퉁(SLT)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기억과 사고의 중요한 측면을 지원할 수 있는 걸로 드러났다. 환자의 약물에 대한 저항성(내약성)도 우수하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