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역 골목상권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온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민생 쿠폰으로 세제, 휴지 등 생활필수품을 가장 많이 구매했다. 치킨과 햄버거 등 외식 비중도 눈에 띄게 늘었다.

3일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연합회 산하 동네수퍼마켓 119개 점포 대상 설문조사 결과 소비쿠폰 사용이 집중된 지난달 21~27일 매출이 전주(14~20일) 대비 증가했다는 매장이 90.8%로 집계됐다. 5% 미만 증가가 28.6%, 5% 이상 증가가 62.2%였다.
연합회는 고물가 여파로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소비쿠폰이 골목상권의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가 소비쿠폰으로 구매한 주요 품목(복수응답)은 ‘생활필수품’(세제, 휴지 등)이 6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음료, 주류 30.3% △가공식품 27.7% △신선식품(채소, 육류 등) 18.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쿠폰 제도 개선을 위해 바라는 점(이상 복수응답)은 정기적 지급 제도화 39.5%, 사용처 확대(소상공인 위주) 38.7%, 예산 증액 36.1% 등으로 파악됐다.

응답자의 99.2%는 향후 같은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된다면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프랜차이즈들의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해당 기간 매출이 전년 대비 약 20% 매출이 상승했다. bhc는 해당 기간 매출이 전년보다 10% 늘었고, 주말(26~27일)에는 무려 25% 증가했다.
햄버거 프랜차이즈들도 쿠폰 효과를 톡톡히 봤다. 맥도날드, 롯데리아, 노브랜드 버거 등은 쿠폰 지급 이후 일제히 5~20%가량의 매출이 상승했다. 커피 전문점, 피자 프랜차이즈 등에서도 소비 쿠폰 발급 전주 대비 매출이 10~30% 올랐다.
송유경 연합회장은 "소비쿠폰을 연계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이 지속돼야 한다"며 "소비 진작 효과가 확실히 입증된 만큼 향후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