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타결의 중요 카드였던 조선협력 사업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와 관련해 우리 협상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향을 반영한 ‘마스가’ 모자까지 제작해 미국으로 긴급 공수한 사실이 3일 공개됐다.
한미 관세 협상을 진두지휘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사실 조선이 없었으면 협상이 평행선을 달렸을 것”이라며 마스가 프로젝트 제안이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마스가 모자 실물을 보여주며 “우리가 디자인해서 미국에 10개를 가져갔다. 이런 상징물을 만들 정도로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부 조선해양플랜트과 직원들의 아이디어로 6월 초부터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마스가 모자를 디자인했다고 이날 추가로 설명했다. 애초 마스가 모자는 3∼4개의 시안이 있었다. 논의 끝에 붉은색 모자 위에 성조기와 태극기를 배치하고, 흰색 실로 글씨를 새긴 현재 디자인으로 결정했다.
골프를 좋아하고 빨간색 모자를 즐겨 쓰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향을 고려한 것이었다. 모자 시안을 만든 후 산업부 실무자들은 섬유 업체가 밀집한 서울 동대문에 있는 업체를 직접 찾아 수소문하며 모자 제작에 나섰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을 만나 마스가 프로젝트를 제시한 뒤 협상이 진전되자 현지에서 마스가 모자를 급히 찾았다. 산업부 실무진은 마스가 모자가 24시간 안에 도착해야 한다는 현지 요청에 대한항공과 긴밀히 협조해 밀봉한 마스가 모자 10개를 들고 인천공항을 찾아 워싱턴행 직항 비행기에 실었다. 직원들의 노력으로 마스가 모자는 다음날 무사히 현지 협상팀 손에 들어갈 수 있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