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환원제철 성공적 추진 위해 원전 무탄소 전력 확보 공동 노력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내 수소생산플랜트 기반구축 협력
경주시와 경북도, 포스코는 소형모듈원전 'SMR 1호기' 경주 유치 및 수소환원제철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경주시는 1일 서울 포스코센터 회의실에서 경북도, 포스코홀딩스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와 원전전력의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의 경주 유치와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철강 탄소중립 기술인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전력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했다.
3개 기관은 협약을 통해 △소형모듈원전(SMR) 국내실증 1호기 경주 유치 △포스코그룹의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투자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전력 공급방안 마련 등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대형원전에 비해 안전성이 대폭 강화되고 산업계 수요가 높은 소형모듈원전(SMR)을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 제작지원센터 구축 및 소형모듈원자로 연구기관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등 관련 산업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포항에 본사를 둔 세계 7위의 조강생산능력을 보유한 글로벌 철강기업 포스코는 우리나라 산업근대화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미국의 철강관세 강화와 유럽연합(EU)의 탄소관세 장벽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돌파구 중 하나로 원전 전력을 활용한 수소환원제철 공정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에 붙은 산소를 떼어내기 위한 환원제로 기존에 사용하던 석탄이나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활용해 전기로에서 쇳물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철강 생산과정에 배출하는 탄소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감축 기술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철을 녹이기 위한 1538도(℃)의 무탄소 내지는 저탄소 열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인 만큼 막대한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수소환원제철의 성공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값싼 무탄소 전원을 24시간 확보하는게 핵심으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원은 현재로선 원자력발전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재 유럽연합과 일본 등 주요국들은 철강산업의 탈탄소 전환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우리 철강 및 에너지업계는 수소환원제철을 위해 전력구매계약(PPA)를 통해 민간이 원전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세계 철강시장을 주도하는 포스코와 첨단 에너지 산업 중심지인 경주가 한마음으로 협력한다면 'SMR 1호기' 경주유치와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공전 전환이라는 목표를 모두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철강업계의 탈탄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포스코와 소형모듈원전(SMR) 분야의 협력을 강화해 원전을 통한 탄소감축 공정 전환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