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양국이 ‘동맹 현대화’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에 합의했다. 이를 위해 한·미·일 3자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가진 회담에서 역내 안보 환경의 변화 속에 한·미 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전략적 중요성도 높이는 방향으로 현대화하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조 장관이 취임 후 처음 루비오 장관을 만난 자리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은 한·미 동맹이 한반도는 물론 역내 평화·안정·번영의 핵심축임을 재확인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그 과정에서 달라진 지정학적 환경과 복합적 안보 위협에 맞게 동맹을 다듬는 작업에도 착수하게 될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은 북한 대응에 집중했던 한·미 동맹의 역할을 사실상 중국 견제용으로 확대하기 바라는 의중을 내비쳐 왔다. 주한미군의 역할을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하는 ‘전략적 유연성’이 동맹 현대화의 대표적 내용이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관계자는 워싱턴 특파원단과 만나 "주한미군의 역할과 성격은 여러가지 요인 때문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동맹 현대화와 함게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에 대한 공감대도 재차 확인했다.
국무부는 보도자료에서 두 장관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국제 제재의 완전한이행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증가에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도 양측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고히 견지하기로 했다"며 "양국 장관은 북한 관련 상호 평가를 공유하고, 앞으로 북한 문제 관련 양국 간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 29일 북한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전제로 미국과 핵군축협상 의도를 시사한 담화를 낸 것에 답하는 성격으로도 풀이된다. 북한 비핵화 목표 유지와 공조 의지에 변함없음을 한번 더 확인한 것이라서다.
다만 미국과 달리 한국의 보도자료에는 북러 협력에 대한 우려나 제재 이행 의지는 담기지 않았다.
두 장관은 공급망 강화, 핵심·신흥 기술 협력을 포함해 양국 공동의 번영을 진전시키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조 장관은 한미 동맹의 근간을 이루어 온 안보와 경제의 두 축에 더해 인공지능(AI), 원자력, 퀀텀 등 첨단 기술 분야 협력을 토대로 한 기술 동맹을 양국 협력의 세 번째 축으로 발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두 장관은 "조선 협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이를 구체화해 나가기 위한 범정부 협력 체계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날 회담에서 양측은 한·미 정상회담 일정도 조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한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발표하며 “2주 이내에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 예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