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신고가는 찍혔는데 우린 못 팔아요”… 요즘 부동산 시장 기묘한 풍경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8-01 05:00:00 수정 : 2025-08-01 05:35:22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집값 27주 연속 상승… 매수심리 한 달 새 25p 하락

“신고가는 나왔는데, 우리는 못 팔아요”

 

서울 광진구 자양동에서 아파트를 보유 중인 A씨는 이달 초 같은 단지에서 신고가가 나왔다는 소식에 집을 내놓았지만 막상 본인이 매물로 내놓자 연락이 없다. A씨는 “딱 한 달 전만 해도 하루에 2통씩 전화가 왔거든요”라며 토로했다.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앞을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신고가 거래는 이어지지만 실제 매수 문의는 급감하며 거래 공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시행된 이후, 부동산 시장에선 묘한 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같은 단지에서 신고가 거래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리지만, 정작 인근 다른 매물엔 매수 문의가 뚝 끊긴 것이다. 매도자는 여전히 지난달 수준의 높은 호가를 부르고 있지만, 매수자들은 대출 부담과 시장 불확실성에 발을 빼면서 거래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KB국민은행이 31일 발표한 ‘7월 4주차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27주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최근 5주 연속 상승폭은 둔화되는 흐름이다. 동시에 서울 매수심리를 보여주는 매수우위지수는 한 달 새 25.4포인트나 하락해 관망세가 뚜렷하게 감지된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보합(0.00%)으로 돌아섰고, 수도권과 지방도 오름폭이 멈췄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눈에 띄게 ‘속도 조절’이 이뤄지는 모습이다. 특히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6·27 가계부채 관리 대책 이후 5주 연속 하락하며, 시장 전체가 관망 모드에 접어들었다는 해석이다.

 

서울 지역별로는 송파(0.38%), 성동(0.34%), 광진(0.33%) 등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거래가 활발하진 않다. 송파의 한 공인중개사는 “거래되는 가격 대부분이 6·27 대책 발표 이전 계약 건으로, 집주인들은 호가를 유지하지만 매수자들이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시장도 비슷한 분위기다. 서울 전셋값은 25주 연속 상승했지만, 서초구는 잠원동 ‘메이플자이’ 3300여 세대의 입주 영향으로 전셋값이 -0.16% 하락했다. 대단지 신규 입주로 전세 물량이 급증하면서 주변 시세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송파구(0.27%), 용산구(0.23%)는 전세가격이 여전히 상승 중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여름 비수기와 불확실성 속 ‘거래 절벽형 온기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