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소득 300만원 이상 가구 비율 15%p 증가

다문화가정 자녀 대학 진학률이 지난해 61.9%를 기록해 3년 사이 21.4%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전체 국민과의 순취학률 격차도 크게 좁혀졌다.
여성가족부는 31일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3년마다 시행되며 이번 조사는 1만6014가구를 대상으로 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고등교육기관(4년제 미만·이상 대학교, 대학원 포함) 순취학률은 61.9%로 2021년(40.5%)보다 21.4%포인트 올랐다. 그 결과 일반 국민과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도 2021년 31.0%포인트에서 2024년 13.0%포인트로 줄었다.
여가부는 2000년대 초중반 출생한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정부의 정책과 지원제도 확대 효과를 본격적으로 체감하는 시기와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재웅 여가부 다문화가족과장은 브리핑에서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됐고 가족센터 221곳,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4곳 등 관련 기관도 235곳까지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문화 가구의 소득 수준도 개선됐다. 월평균 소득 300만원 이상인 가구 비율은 65.8%를 기록해 2021년(50.8%)보다 15.0%포인트 늘었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300만∼400만원 구간이 가장 많은 소득 구간으로 집계됐다. 이 과장은 “전반적으로 최저임금이 오르고, 우리나라 소득수준도 오르고, 한국인 배우자 소득도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주택 점유 형태에서 자가 비율은 이전 조사보다 소폭 올랐고 월세 비율은 소폭 줄었다. 지난해 기준 자가 비율은 56.2%, 보증금 있는 월세(20.2%)와 전세(19.3%)가 뒤를 이었다.
‘지난 1년 동안 외국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은 경험’은 13.0%로 2021년(16.3%)보다 3.3%포인트 줄었다. 차별 경험은 직장·일터가 74.6%로 가장 많았다. 차별에 대처한 방법은 ‘그냥 참는다’가 여전히 80.7%로 가장 높았다.
만 9~24살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차별 경험이 늘었다. 지난 1년 동안 차별을 경험한 비율은 4.7%로 2021년(2.1%)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여가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대면 활동 축소로 차별 경험이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봤다.
결혼 이민자(귀화자 포함) 중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폭력을 당한 비율은 10명 중 1명꼴인 9.8%였다. 이중 주위에 도움을 요청한 비율은 31.1%에 불과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