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통합 더는 미룰 수 없어”
예천 “명분·실익 없어” 반발 거세
경북 안동·예천 통합 움직임이 3년 만에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정부의 주민참여 플랫폼 ‘주민e직접’에 안동·예천 행정통합 주민투표 청구가 등록됨에 따라 법적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다. 하지만 예천 지역에선 통합을 반대하는 의견이 만만치 않아 또다시 지역 간 갈등만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안동·예천 행정구역 통합 논의는 지난 2022년 안동시의 주도로 처음 제기됐다. 하지만 예천지역에서는 지역감정과 지명 상실에 대한 우려, 예산 배분, 행정 주도권 상실 우려가 맞물리며 반발했다. 결국 통합 논의는 대구·경북통합 추진과 조기대선 정국 등과 맞물려 자연스럽게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그러나 최근 안동·예천통합추진위가 활동을 재개하면서 행정 통합이 가시화하고 있다. 추진위는 안동은 물론 예천 12개 읍·면 260여개 마을회관을 돌며 통합 필요성을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안동예천행정구역통합추진위원회는 “행정구역 분리로 복지와 행정, 민원 처리에 혼란이 많다”며 “실질적인 생활권 중심의 통합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주장했다. 안동시 역시 행정구역 통합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기준 안동시 인구는 15만3754명, 예천군 인구는 5만4117명이다. 안동은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나 예천은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신도시 조성으로 2015년부터 인구가 증가해 2018년부터 5만명 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예천은 여전히 통합 반대 목소리가 크다.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반대추진위원회는 지난 7월18일 주민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통합반대 범군민 결의대회를 열고 “주민 의견은 철저히 배제한 채 안동시가 주도하는 통합 논의는 지역민을 무시한 일방적 폭주”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명분도, 실익도 없는 통합은 행정구역 과대화에 따른 행정 비효율, 예산 배분 불균형, 신도시 성장 정체, 청사 위치 갈등 등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통합이 아닌 침탈’, ‘1300년 예천의 정신은 결코 흡수될 수 없다’는 문구가 적힌 피켓도 곳곳에 걸렸다.
현재 예천의 주요 도로에는 ‘예천·안동 행정통합 결사반대’라는 문구의 현수막도 게시됐다. 반대추진위는 3만명 이상의 통합반대 서명운동을 추진하고, 주민을 대상으로 통합 반대 논리를 알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통합 시 예상되는 구체적 피해와 문제점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 수집, 지역 정체성 수호를 위한 범군민 릴레이 반대 캠페인 등도 진행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