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기대 여전하지만 관망세 확산…전세는 송파·강동 중심으로 강세

“부동산에서 ‘3000만 원 깎아주겠다’고 연락 왔어요. 한달전만해도 상상도 못 할 일이었죠”
서울 마포구에 거주 중인 40대 무주택자 A씨는 최근 아파트 매수를 망설이고있다. 미국 기준금리 동결과 정부 규제 강화에 관망세가 지속돼 선뜻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A씨는 “사도 되는 건가 싶고, 또 떨어질까 겁나고 매일 부동산 앱만 들여다보는 중”이라고 토로했다.
7월 마지막 주(7월 28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이 전주 대비 0.01% 상승하며 보합세를 이어갔다. 서울과 수도권은 여전히 상승 중이지만, 오름폭은 뚜렷하게 줄어들며 시장에 온기가 식고 있는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이 31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이어 0.01% 상승, 전세가격 역시 같은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재건축 이슈가 있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이뤄졌지만, 전반적인 수요 위축 속에 상승률이 전주 0.16%에서 이번 주 0.12%로 둔화됐다.
송파구(+0.41%), 서초구(+0.21%), 양천구(+0.17%)는 재건축 단지나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컸다. 성동구(+0.22%), 광진구(+0.17%), 용산구(+0.17%) 등도 강세를 보였다.
부동산원은 “관망심리가 지속되고 있어 국지적 상승 외에 전반적 수요는 위축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 전체도 상승폭이 0.06%에서 0.04%로 줄었고, 인천은 -0.03%, 경기는 0.01%로 미미한 변동을 보였다. 특히 경기 평택(-0.17%)과 시흥(-0.10%)은 입주물량 부담과 매수자 부진으로 하락폭이 컸다.
전세가격 역시 전국적으로 0.01% 오르는 데 그치며 이사철을 앞둔 관망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서울은 0.06% 상승해 전주와 같았고, 수도권은 0.02%에서 0.01%로, 경기는 보합(0.00%)으로 전환됐다.
서울에선 송파구(+0.28%), 강동구(+0.11%), 영등포구(+0.11%) 등이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서초구는 -0.05% 하락하며 매물 누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인천(-0.05%)은 연수·남동구를 중심으로 하락폭이 컸고, 경기도 평택(-0.15%) 역시 약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하반기 시장 변수인 정부 추가 부동산 대책, 금리 동향 등이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관망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국지적 상승세는 일부 단지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은 여름 비수기와 불확실성 속 ‘거래 절벽형 온기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