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통령실 “수출 불확실성 상당부분 제거…車관세 15%는 아쉬워”

입력 : 2025-07-31 09:42:13 수정 : 2025-07-31 10:54:07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김용범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국과 관세 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은 31일 극적으로 타결된 미국과의 관세협상과 관련해 수출 불확실성을 상당 부분 제거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기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된 상황에서 자동차 분야에 대한 관세율이 15%로 확정된 점은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을 발표하며 “협상 과정에서 우리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감내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상호호혜적 결과를 도출한다는 자세로 임했다”며 “미국이 8월 1부터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진다”고 했다.

 

자동차 관세는 15%로 낮췄으며,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추후 부과 예고된 반도체·의약품 등도 “다른 나라와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최혜국 대우를 받을 것”이라고 했다.

 

애초 정부는 미국이 자동차에 부과하는 품목별 관세를 25%에서 12.5%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하한선을 15%로 제시했다. 한국은 FTA에 따라 지금까지 무관세 혜택을 받았지만, 일본과 유럽연합(EU)은 2.5% 자동차 관세를 부담해왔다. 이에 15%에 합의한 일본·EU보다 세율이 2.5% 포인트 더 낮아야 공정하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김 실장은 “정부는 마지막까지 (관세율) 12.5%가 맞는다고 주장했는데 지난 4월1일부터 벌어지고 있는 각 나라 협상을 보면 FTA 체제가 상당히 흔들리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며 “유럽, 일본도 다 15%인데 아쉬운 부분”이라고 했다.

 

정부는 관세율을 인하하는 대신 3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미국에 투자하기로 했다. 1500억 달러는 조선 분야에, 200억 달러는 반도체,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에 조성한다.

 

김 실장은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조선업 분야에 대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한 것”이라며 “1500억 달러는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며 우리 기업들의 수혜에 기반해 구체적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선 분야 이외에도 반도체, 원전, 이차 전지, 바이오 등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도 2000억 달러 조성될 예정”이라며 “좋은 펀드의 투자 펀드를 고려한다면 우리 기업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미국 진출에 관심이 있는 우리 기업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실은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미국의 강한 요구가 있었지만,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한미 정상은 2주 이내에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기로 했다. 김 실장은 “구체적인 일정은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