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통령 없는 청와대’ 오늘이 마지막 날…언제 다시 열리나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7-31 09:00:00 수정 : 2025-07-31 09:16:59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청와대 관람이 8월1일부터 일시 중단된다. 개방 약 3년 2개월여 만에 다시 대통령을 맞을 준비를 하기 위한 것이다.

 

대통령 집무실 복귀 준비를 위해 8월1일부터 청와대 관람이 중단된다. 사진은 30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청와대 본관 전경. 뉴스1

 

31일 청와대재단에 따르면 청와대는 8월1일부터 종합 보안·안전 점검 및 시설물 점검을 시작한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 집무실이 청와대에 복귀하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6월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 259억원 안건을 국무회의에 상정, 의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집무실 이전 관련) 업체를 선정하고, 사무실 배치는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집무실 복귀 계획에 따라 지난 16일부터 예약 인원과 관람 동선이 일부 조정됐다. 청와대 해설사와 동행해 외부 관람만 진행했고, 건물 실내관람은 제한했다. 영빈관-본관 앞-구본관터-녹지원을 돌아보는 코스로, 회차당 200명씩, 하루 2000명까지만 허용됐다. 

 

8월1일부터는 문을 닫고 전면 개방됐던 본관과 관저를 대통령이 이용할 수 있게 시설 개·보수와 보안 점검에 들어간다. 

 

올해 내 완료 후 제한적인 구간에 대해 청와대 관람이 재개될 것으로 알려졌는데, 시기는 미정이다. 

 

청와대가 개방된 2022년 5월10일 시민들이 열린 정문으로 입장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2022년 5월 취재진이 청와대 본관 실내 일부와 관저 건물 내부를 취재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청와대는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대통령부터 문재인 대통령까지 70여년 간 대통령이 머물던 곳이다.

 

4대 윤보선 대통령이 ‘청와대’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노태우 대통령이 본관과 관저, 프레스센터인 춘추관을 신축하면서 1991년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김영삼 대통령은 1993년 취임 후 옛 청와대 본관을 철거했다. 일제강점기에 북악산의 정기가 이어지는 능선을 끊기 위해 해당 건물이 지어졌다는 풍수적 해석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 따라온다. 이후 김영삼 대통령은 청와대 앞길과 인왕산을 시민들에게 개방했다. 

 

청와대 관람 일시 종료 전 마지막 주말이던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춘추문으로 관람객들이 들어가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 및 비서실을 서울특별시 용산구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고, 2022년 5월10일 민간에 개방됐다. 가장 최근 공개된 누적 관람객 수는 지난 6월3일 대선일까지 783만1897명이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