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유형별 규제 강화책 시급”
청소년 흡연 행태가 액상형 전자담배 위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여학생의 경우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이 일반담배(궐련)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질병관리청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시한 ‘청소년건강패널조사’ 1∼6차(초6∼고2) 통계 주요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1∼6차 연도에 모두 참여한 3864명을 대상으로 흡연 등 행태 변화를 분석했다.
조사결과 남학생의 담배 제품별 현재 사용률은 고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진학할 때 궐련 2.12%에서 5.50%, 액상형 전자담배 1.19%에서 3.57%, 궐련형 전자담배 0.65%에서 1.67%로 각각 높아졌다.
같은 기간 여학생의 담배 제품별 사용률은 궐련 1.19%에서 1.33%, 액상형 전자담배 0.94%에서 1.54%, 궐련형 전자담배 0.24%에서 0.32%로 각각 증가했다.
남학생은 고등학교 2학년 기준으로 여전히 궐련을 이용하는 비율(5.50%)이 액상형 전자담배(3.57%)보다 약 2%포인트 높았다. 다만 여학생은 액상형 전자담배(1.54%)가 근소하지만 궐련(1.33%) 이용률을 약 0.2%포인트 차로 앞지르는 양상을 보였다.
액상형 전자담배를 피우는 청소년은 담배를 끊으려 시도하는 건 물론, 끊겠다고 생각해 본 적도 적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의 금연 시도 경험은 50.2%로, 궐련 흡연자(75.1%)를 크게 밑돌았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해 제품 유형별 규제 강화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