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일축… 군축 협상 응할 것 시사
백악관도 “김정은과 대화 열려 있어”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29일 공개된 담화에서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며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비핵화를 요구할 경우 “대방(상대)에 대한 우롱”이라며 상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는 핵 군축 협상에는 응할 의사를 내비쳤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된 28일자 담화에서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패한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북·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부장이 언급한 ‘변화된 현실’은 북한의 핵 무력 증강과 격상된 북·러 관계, ‘실패한 과거’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과거 정상회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 부부장은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향해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한 후 서로에 대한 핵 위협을 줄이기 위한 핵 군축 협상을 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 부부장은 전날 한국에 대해선 “마주 앉을 일 없다”며 단호히 선을 그은 바 있다. 한국에 대한 북한의 핵 위협은 해소되지 않은 채 북·미관계는 개선되는 이른바 ‘한국 패싱’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백악관 당국자는 김 부부장 담화 발표 직후 로이터통신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끝내기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소통하는 데 열려 있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