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산불 감시 등 실증 추진
국토교통부는 드론 기술 실증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드론특별자유화구역 20곳을 신규 지정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제3차 지정을 통해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전국 32개 지방자치단체, 총 67개 구역으로 확대된다.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비행승인, 특별비행승인, 안전성 인증 등 드론 비행 규제 6종을 면제하거나 간소화하는 제도로, 지자체의 안전관리를 전제로 드론 비행이 허용된다. 민간 기업은 실제 환경에서 드론을 활용해 자유롭게 실증할 수 있다.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에서는 도심, 농촌, 해양, 산림 등 다양한 공간에서 드론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촉진하고, 규제 문턱 없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드론 서비스를 현실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110개 이상의 드론 기업이 장거리·고하중 드론 배송, 산불 감시 및 진압, 하천 수질관리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실증을 다양하게 추진한다.
충남 당진시는 말벌 개체 증가로 인한 농가피해 최소화 및 사고예방을 위해 드론을 활용한 탐지 및 제거 실증을 추진한다. 경북 영주시는 농업용 장기체류형 드론을 활용한 방제와 스마트농업 특화 실증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백소용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