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올리브영 매대 싹쓸이?… 민생소비쿠폰 효과 나왔다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7-29 10:18:24 수정 : 2025-07-29 10:48:36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7월 첫째 주 카드 사용액 전년 대비 12.6%↑… 교육 9.9%·보건 4.9%↑, 외식은 4.2%↓

서울 시내 한 올리브영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하는 손님들로 진열대가 텅 비었다. 매장 직원은 “쿠폰 사용 시작되고 나서 특정 제품은 정말 순식간에 동난다”며 “쿠폰 쓰려고 일부러 찾아오는 손님들도 많다”고 전했다.

 

지난 27일 서울 시내 한 올리브영 매장에서 한 시민이 텅 빈 마스크팩 진열대를 바라보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본격화되면서 일부 인기 품목은 매진 사태를 빚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가운데, 여름휴가 시즌과 맞물려 위축됐던 내수 소비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와 함께 소비자심리지수도 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다. 다만 음식·숙박 등 체감형 업종의 지출은 여전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어, 소비 회복세가 제한적이라는 평가도 함께 나온다.

 

통계청이 29일 공개한 속보성 지표 ‘나우캐스트(Nowcast)’에 따르면, 7월 첫째 주(6월 28일~7월 4일) 신용카드 이용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다. 이어 7월 둘째 주(7월 5~11일)에도 3.7% 증가하며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첫째 주에는 카드 사용액이 3.6% 늘었지만, 둘째 주에는 2.4% 감소하며 주간 단위로는 등락을 반복하는 흐름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교육과 보건 분야의 소비가 눈에 띄게 늘었다.

 

교육 서비스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했고, 보건 부문은 4.9% 늘었다.

 

반면, 숙박 서비스는 2.4% 감소했고, 음식·음료 서비스는 4.2%, 식료품과 음료 부문은 2.0% 각각 줄었다.

 

즉, 외식이나 여행보다는 학원비·병원비 등 필수 지출이 소비 증가를 이끈 상황으로 분석된다.

 

텅 빈 민생쿠폰 지원 올리브영 진열대. 연합뉴스

 

소비자 심리 회복도 수치로 나타났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2021년 6월(111.1) 이후 약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CCSI는 3월부터 7월까지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경제동향(그린북)에 따르면, 6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했고,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28.8% 증가하는 등 외국인 관광 소비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소비 증가세가 실제 체감경기 개선으로 이어지기엔 아직 이르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국내 소비가 분산될 가능성이 있고, 소비쿠폰 사용처가 사교육비나 비필수 품목에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신용카드 결제액은 주간 단위로 변동폭이 커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최근 일부 지표에서 소비 회복 흐름이 관측되고 있다”며 “정책 효과가 실질적인 내수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표를 면밀히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쿠폰 사용이 가능한 올리브영 지점은 올리브영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