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채해병 특검, 세 가지 의혹에 집중…국방부 보좌관·정책실장 소환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7-28 19:56:14 수정 : 2025-07-28 20:50:16
장민주 기자 chapte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해병대원 순직 사건과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채해병 특별검사팀(특검 이명현)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측근들을 불러 조사하며 수사망을 좁히고 있다.

 

특검은 28일 이 전 장관의 참모진이었던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과 허태근 전 국방정책실장을 불러 조사를 시작했다. 이들은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채해병 사망 관련 조사결과를 보고한 2023년 7월30일 회의 자리에 있었던 국방부 인사들이다. 특검은 당시 회의에서 나온 보고 내용, 윤 전 대통령의 격노 후 경찰에 조사기록 넘기기를 보류하라는 지시가 내려진 경위 등을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허태근 전 국방부 정책실장이 28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정민영 채해병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박 전 보좌관은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를 발표하는 언론 브리핑이 갑자기 취소되고 이후 경찰로 이첩됐던 사건 기록이 회수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이 전 장관,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 유재은 전 법무관리관 등과 긴밀이 연락을 주고받은 핵심 인물”이라며 “조사할 내용이 많아 여러 차례 소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허 전 실장은 지난주에 이어 두 번째로 조사받는다. 정 특검보는 “특검에서 확인할 내용이 많다 보니 추가로 조사할 내용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검은 허 전 실장에게 해병대 수사단(수사단)의 첫 조사결과 보고 내용과 방식, 경찰에 사건을 넘기는 것을 멈추라고 지시가 내려진 경위 등을 살펴보고 있다.

 

특검은 현재 크게 세 가지 의혹에 집중해 수사망을 펼치고 있다. △채해병 순직사건의 업무상 과실치사·상 △임 전 사단장의 구명 불법 로비 의혹 △대통령실의 채해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 의혹이 그 대상이다. 채해병 순직사건의 업무상 과실치사·상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 보고서와 국방부 조사본부가 이를 재검토한 결과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사령관, 김화동 전 해병대사령관 비서실장 등 순직사건 당시 해병대 관계자 등을 불러 조사했다. 이미 조사받은 임 전 사단장을 포함해 수사단이 초동수사 시 책임간부로 지목한 8명도 수사대상이 될 수 있다.

 

특검은 임 전 사단장의 구명 로비 로비가 이뤄진 통로를 세 갈래로 보고 의혹을 파헤치고 있다. 수사단이 최초 특정한 주요 혐의자 8명에서 임 전 사단장을 포함해 6명이 빠지는 데 로비가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이 들어간 ‘멋쟁해병’ 단체대화방 △극동방송 김장환 목사·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 등 개신교계 △고석 변호사 등 윤 전 대통령의 군 내부 인맥을 들여다보고, 로비 정황을 수사하고 있다. 현재 수사 중인 ‘누구를 통해서 로비를 했는가’가 확인될 경우 특검의 다음 과제는 ‘진짜 로비가 이뤄졌는가’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특검은 29일 오전에는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을 채해병 사망 관련 직권남용 피의자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조 전 실장은 대통령실 수사 외압 의혹의 배경이 된 2023년 7월31일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한 인물이다. 당시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8명을 줄소환 중인 특검은 조 전 실장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의 반응과 지시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장민주 기자 chapte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