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빅데이터에 민·관 협력까지”…충북 증평군, 위기가구 복지 체감도 높인다

입력 : 2025-07-28 13:59:48 수정 : 2025-07-28 13:59:47
증평=윤교근 기자 sege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고용, 거주, 생애주기 등 위기 정보 47종
지난달 명예사회복지공무원 126명 임명
'안부인사'로 정서적 소외 등 해소
"증평형 복지모델로 군민 안심 환경 조성"

“위기가구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민∙관 협력으로 안전망을 구축합니다”

 

충북 증평군이 ‘복지사각지대 ZERO’를 목표로 생활밀착형 복지정책을 펼친다.

 

28일 군에 따르면 지역 내 위기가구는 2021년 664명, 2022년 971명, 2023년 1006명, 2024년 1115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는 1200명 선을 예상한다.

 

충북 증평군이 지난 7월 25일 위기가구 발굴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인적안전망 발대식과 교육을 진행했다. 증평군 제공

군은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개선해 기존 경제적 취약계층 중심에서 고위험 위기가구까지 범위를 확대했다. 이 시스템의 위기정보를 기존 18개 기관 34종에서 47종으로 늘렸다. 고용과 주거, 집단건물 체납, 생애주기별, 지역특성별 등 다양한 복합위험 요인까지 고려하면서 선제 돌봄이 이뤄질 수 있게 한다는 구상에서다.

 

이런 자료 분석으로 놓치기 쉬운 위기가구는 지역 내 민∙관 협력망을 활용한다. 지난달 25일 이장과 우체국 집배원, 건강음료 배달원 등 군민과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생활 관찰자’ 126명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임명하고 교육을 진행했다. 2018년 처음 도입된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위기 의심 가구에 안부를 묻거나 현장 상담으로 행정이 즉시 개입할 수 있게 돕는다. 실제 지난 5월 도안면 한 이장은 전기와 수도가 끊긴 창고(컨테이너)에 홀로 지내던 거동이 불편한 50대 A씨를 발견하고 도안면사무소에 알렸다. 도안면은 증평읍 맞춤형복지팀과 함께 A씨의 건강 상태와 거주환경을 점검하고 긴급지원,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주거상향 지원사업을 연계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가동했다. A씨는 증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도움으로 임시 거처를 마련했고 의료∙생활지원 등 복지팀의 후속 조치로 안전한 삶의 기반을 회복했다.

 

이 과정에서 노숙 상태인 B씨의 존재를 파악하고 복지욕구 조사에 들어갔다. B씨는 A씨의 형으로 가족관계 등을 살피면서 알게 됐다. 1개월여 간의 거리 생활로 몸과 마음이 지쳐 있는 B씨는 주거향상 지원으로 임대아파트에 입주했고 폐지 수거로 생계를 꾸리던 상황도 차상위계층 신청이 완료되면서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고령자와 홀몸노인, 중증장애인 등 고위험군 전반에 걸친 안전망도 가동한다. 주 2회 ‘초록의 안부인사’와 주 5회 ‘하루 안부인사’ 등 건강음료를 전달하며 안부를 살펴 정서적 소외 해소와 고독사 예방에 나선다. 초록 안부인사는 군비(1000만원)로, 하루 안부인사는 국비와 도비, 군비 등 800만원을 지원한다.

 

복지전달체계 실효성 향상을 위해 활동 설명서를 책자로 제작했다. 또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문고리형 안내 전단을 제작해 나눠주고 위기가구 조기 발견 등의 인식 개선에 힘을 쏟는다.

 

이재영 증평군수는 “복지는 더는 특정 계층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누구나 어느 순간 필요할 수 있는 보편적 사회안전망이 되어야 한다”며 “데이터와 현장의 눈, 그리고 이웃의 관심이 함께 작동하는 증평형 복지모델로 군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증평=윤교근 기자 sege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