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가 처우 개선을 촉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는 25일 대전 서구 관저동 대전세종충남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대전시와 충남대병원은 직원들의 열악한 임금 체계와 처우를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병원과 노조는 지난 5월부터 이달 초까지 임금및단체협약 실무교섭을 5차례 열었으나 노조의 정근수당과 위험수당 신설 요구에 대전시와 병원 측이 난색을 표하면서 평행선을 달렸다. 노조는 정근수당을 공무원 수준에 맞춰 신설해달라는 입장이다. 노조 요구안은 ‘10년 근속 시 기본급의 50% 지급’이다. 반면 병원 측은 재정 여건을 이유로 ‘10년 근속 시 기본급의 20% 지급’을 수용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지난 9일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 3차례 조정 과정을 거쳤으나 최종 결렬됐다.
노조는 열악한 처우로 개원 이래 2년동안 30여명이 넘는 직원이 퇴사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시가 무책임한 태도로 교섭에 임하고 있다”면서 “2023년 5월 개원 후 34명의 직원이 병원을 떠났고 그 여파로 환아들이 한두달 정도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입 직원 지원율도 크게 떨어져 인원 충원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정상적인 병원 운영과 지속 가능한 치료를 위해 정근수당과 위험수당을 신설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시와 병원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체 직원 98명 가운데 노조 조합원은 77명으로 재활치료사와 간호사, 치위생사, 의료기사 등이 가입했다.
병원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인원을 중심으로 비상진료체계에 들어갔다.
외래 진료 중 소아청소년과와 재활의학과 일반진료, 예방접종은 정상 운영되며 영유아검진은 제한적으로 운영된다. 재활치료는 입원환아에 한해서만 운영되고, 낮병동·외래 환아 재활 치료는 정상화 때까지 멈춘다.
노조는 “치료받아야 할 아이들이 많은 만큼 이 병원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면서 “어린이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장소가 많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파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교섭에 성실하게 임해왔으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재정 부담 등으로 노조 요구안을 그대로 수용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병원과 노조가 원만히 해결돼 환아들이 빨리 치료받을 수 있도록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적자 추산액은 34억6000만원이다. 올해 예상 적자 금액은 40억9000만원이다. 재활병원은 충남대병원이 위탁 운영 중이다.
현재 대전에서는 을지대가 노조와 막판 협상을 하고 있고, 건양대는 조정 중지 돼 노조가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