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는 6·25전쟁 유엔참전용사의 공헌을 기리고 참전국과의 우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식’을 오는 27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함께 지킨 자유와 평화, 미래로 잇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기념식에는 미국·영국·캐나다·에티오피아 등에서 방한한 유엔참전용사와 유가족, 6·25참전유공자, 참전국 주한 외교사절, 학생,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한다.

기념식에서는 공로자 3명에게 정부 포상이 수여된다.
1952년 6월 미 육군 제7보병사단 제17보병연대 제3대대 K중대 소속으로 당관리 부근 전투에 참가한 고(故) 프레드 B. 맥기 참전용사에게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한다. 그는 다친 분대장을 대신해 엄호사격을 지휘하고 분대 철수 이후에도 부상자와 사망자 후송을 지원했다.
카일 오스틴 스캇 전 캐나다 재향군인회 44지부 회장은 캐나다참전용사와 가족 1900여 명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과 한국전 참전 메달을 전하고 40년가량 캐나다 정계와 지역사회에 한국전쟁을 알리며 참전용사들의 명예와 복지를 향상하는 데 노력한 공을 인정받아 국민훈장을 받는다.
배종훈 서초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는 2009년부터 국내와 22개 참전국 현지에서 유엔참전용사 추모·감사 음악회를 열어 참전국과의 우호·협력관계 강화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포장을 받는다.
강윤진 보훈부 차관은 “오늘의 대한민국은 22개 유엔 참전국과 198만여 명의 유엔 참전영웅들의 희생과 헌신, 평화와 연대의 정신 위에 서 있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이 고귀한 가치와 정신을 우리 국민과 세계인이 기억하고 계승해 나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6·25전쟁에는 22개국에서 연인원 198만8400명이 유엔군으로 참전했다. 이 가운데 4만803명이 전사·사망하고 10만3460명이 다쳤으며 3950명이 실종되고 5819명이 포로가 됐다.
미국, 영국, 호주, 네덜란드, 캐나다, 프랑스, 뉴질랜드, 필리핀, 튀르키예,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등 16개국이 전투병을 파견했고 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독일 등 6개국은 의료 지원에 나섰다.
7월 27일 유엔군 참전의 날은 유엔참전용사의 희생과 공헌을 기리기 위한 법정기념일이며 1953년 6·25전쟁 정전협정이 맺어진 날이기도 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