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진작을 위해 전 국민에게 지급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으로 담배를 사재기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구매 품목을 제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담배는 저장과 보관이 간편해 차후 현금으로 바꾸는 ‘담배깡’도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소비쿠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대형마트 대신 편의점과 동네 마트로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담배 구입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마트를 운영하는 40대 A씨는 “소비쿠폰 지급 첫날부터 어르신들이 담배를 두세 보루씩 사 가곤 한다”며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때도 이런 경험이 있어서 술, 담배 발주를 더 넣을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담배는 편의점 매출의 약 40%가량을 차지하는 품목이지만, 세수 등을 이유로 정부가 민감한 반응을 보여 실적 공개는 꺼리는 편이다. 업계에서는 소비쿠폰 지급 후에도 정확한 수치 공개는 말을 아끼고 있지만 지급 전 대비 10% 안팎의 성장을 보였다는 평가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SNS)에서는 ‘민생지원금 절망편’이라며 소비쿠폰으로 담배 15갑을 샀다는 인증 사진도 빠르게 공유되고 있다. 일부 애연가들 사이에서는 ‘흡연지원금’이라는 농담도 나온다.
2020년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담배 매출 증가로 이어진 바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2020년 5∼8월 담배 판매량은 12억5000만갑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12억200만갑에 견줘 4.0% 늘었다.
이홍주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소비쿠폰은 소멸성 자산이기 때문에 장기 보관이 가능한 담배를 안정적 소비재로 인식하고 전환하려는 것”이라며 “담배 구입은 소비를 촉진할 실질적 경제 효과가 작기 때문에 구매 품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