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장관 30% 공약 사수도 난관
대통령실 “인사위서 저서도 검증”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자진사퇴를 하며 ‘현역의원 불패’가 이재명정부에서 깨졌다. 대통령실은 시민단체를 비롯한 진보진영과 당 내부의 반대에도 임명을 강행하려 했으나 강 전 후보자의 사퇴 결정으로 한숨을 덜었다. 하지만 강 전 후보자와 ‘임명 철회’로 마찬가지로 낙마한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후임을 찾는 데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차기 여가부 장관 후보자와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가장 중요한 자질은 ‘도덕성’이 될 전망이다. 강 전 후보자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가장 큰 이유는 ‘갑질’ 등 도덕성이다. 이 전 후보자 역시 ‘논문표절’을 포함해 업무를 수행하기에 도덕성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국회의원 출신으로 유권자들의 검증을 거쳤던 강 전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도덕성에 대한 더욱 세심한 사전 검증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여성장관 비율 30%’ 공약도 대통령실의 고민이다. 이재명정부 1기 내각 지명을 완료했을 때 19개 부처 가운데 여성장관 후보자는 5명으로 26.3%였다. 그러나 여성 후보자 2명이 자리에서 내려오게 됐다. 여성 인재 발굴에 고심을 기울였던 대통령실이 다시 한 번 숙고를 거듭해야 하는 대목이다.
이번 인사 정국에서 드러난 또 다른 기준은 이재명정부 국정철학의 이해도다. 강준욱 전 국민통합비서관은 정규재 전 한국경제 주필 등 보수세력의 추천을 받아 이 대통령이 받아들여 지명한 인사다. 그러나 여권을 중심으로 강 전 비서관 임명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이어졌고, 결국 강 전 비서관의 자진사퇴로 이어졌다. 저서나 과거 발언 등을 종합한 평가를 거쳐 이재명정부 국정철학과 함께 갈 수 있는 인사인지가 중요한 잣대가 될 전망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4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공정성 확보를 위해 비서실장이 주재하는 인사위원회를 가동 중”이라며 “저서까지 (검증 범위를) 확장한다든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 수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의 호흡도 주요 변수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 1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전 후보자 철회, 강 전 후보자 임명 기조에 대해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 영향을 많이 미쳤다고 한 바 있다. 이후 당내에서 강 전 후보자 비토론이 새어 나오며 잡음이 커졌다. 여당에서도 납득할 수 있는 후보를 찾는 것은 물론 세심한 소통을 통해 국민에게 적합한 후보임을 강조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