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담 던 민주 ‘자성’으로 태세 전환
“여론 다 감안 못했단 지적 아프다”
지도부, 수해 현장 찾아 민생행보
박지원 “잔인한 결정 빨라야 좋아”
野 “姜, 윤리위 제소… 의원직 사퇴”
‘李정부 인사검증 부실’ 거센 비판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논란이 된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 이후 남은 인사청문 정국에서 방어하려는 여당과 공격하려는 야당의 ‘창과 방패’ 대결이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강 전 후보자를 엄호해 온 더불어민주당은 자성의 목소리를 내며 여론 수습에 나섰고, 국민의힘은 여세를 몰아 강 전 후보자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다른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들은 24일 경기 가평을 찾아 수해 복구 봉사활동을 했다. 김 직무대행은 페이스북에 “신속 복구와 국민의 일상 회복에 당력을 총집중하겠다”며 “어제(23일)는 국회에서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이 본회의를 통과했다. 입으신 피해를 생각하면 충분하지 않겠지만 재난지원금, 세금 및 공공요금 감면 등 지원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민생 의제를 부각하며 인사 논란과 수해 등 악재를 상쇄하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강 전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당장 부담을 던 민주당에서는 인사 책임을 인정하는 발언도 나왔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MBC 라디오에서 “여론에 대한 것들을 다 감안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아프게 받아들인다”며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하다 보니 인사 검증에서 일부 실기도 있을 수 있고, 능력에 초점을 두다 보니 과거사 등에 대한 검증이 미흡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다”고 말했다.

국회 보좌관 출신인 장철민 의원도 BBS 라디오에서 “(강 전 후보자가) 당과 이재명정부의 국정 동력을 위해 사퇴 결단을 한 것으로, 정치적으로만 보면 판단이 잘됐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훨씬 많다”면서 “좀 더 낮은 자세로, 국민 눈높이에 맞춘 더 엄정한 검증 과정이나 반성하는 태도를 지녀야 하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부족함이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했다.
민주당의 태도는 강 전 후보자가 사의를 표명하기 전과 확연히 달라졌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전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인수위 없이 출범하다 보니 인사검증시스템 등 국민적 기대에 미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여당 지도부로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공개 사과했지만, 당은 곧바로 “비공개 최고위에서 인사 검증 관련 언급은 없었다”며 “이 최고위원의 개인 의견으로 봐 달라”고 선을 그었다.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면서 강 전 후보자도 함께 정리해야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5선 박지원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지도자는 잔인한 결정을 빠르게 해주는 게 좋은데 이번엔 만시지탄”이라며 “(사퇴나 지명 철회를) 그 전에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강 전 후보자의 의원직 사퇴를 주장하며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갑질 및 위법 의혹이 제기된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 의원직 사퇴를 촉구하며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보좌진에 대한 변기 수리 지시, 사적 심부름은 명백한 위법행위로 근로기준법 등 관계 법령을 정면으로 위반한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또 국민의힘은 아직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장관들의 지명 철회를 요구하며 “인사 참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송 위원장은 “사퇴한 강 후보자뿐 아니라 일가족의 태양광 재테크를 위해 이해충돌 법안을 낸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겹치기 근무 의혹에 공직선거법 상습 위반범인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병적 기록조차 제출하지 못한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까지 도무지 정상이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반복되는 낙마와 논란은 대통령실 인사 검증이 부실하다는 수준을 넘어서 애초에 인사검증시스템 자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들게 한다”며 “정상적인 인사검증시스템을 복원하는 데 즉각 나서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등 연일 발언 논란을 빚고 있는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차관급) 사퇴 압박으로 전선을 넓히기도 했다. 송 위원장은 “최 처장은 친여 성향 유튜브에 출연해 ‘이 대통령의 20년 집권이 필요하다’며 헌법개정까지 주장했다”며 “인사혁신처장이 아니라 아첨혁신처장”이라고 비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