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어 기본적 삶 포기하는 현실 문제
생활비 부담 줄여주는 사회안전망 필요
500만원 이상 기부 ‘500만 클럽’ 운영
활성화로 240개 시·군·구지부 결성 꿈꿔

홍길동은행은 ‘빈곤으로 자살하거나 범죄로 내몰리는 일만은 없어야 한다’는 안진걸(사진) 민생경제연구소장의 신념에서 시작됐다.
그는 24일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가난 문제만큼은 문명국가라면 반드시 해결해 줘야 하는 것”이라면서 “빈곤 퇴치는 못사는 사람을 도와주는 구제가 아니라 사회안전망 확보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소장은 “모두가 재벌처럼 살 수 없고 살아서도 안 된다”며 “오히려 검소한 삶이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식을 낳고 싶어도 돈이 없어 못 낳고, 부모를 모시고 싶어도 돈 때문에 포기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며 “이처럼 기본적인 삶의 요건을 돈 때문에 포기하는 게 맞나”라고 반문했다. 그런 철학에서 안 소장은 홍길동은행과 꿈수저장학금을 만들었다.
홍길동은행을 만든 결정적 계기는 ‘소액생계비대출’이었다. 2023년 3월 서민금융진흥원은 취약계층이 급전을 구하기 위해 불법사금융으로 빠지는 일을 막겠다는 취지로 소액생계비대출을 도입했다. 신용평점 하위 20% 이하이면서 연 소득 3500만원 이하인 저신용 저소득자에게 최대 100만원을 즉시 빌려주는 제도다.
안 소장은 “기본금리가 연 15.9%에 달할 정도로 높은데도 사람들이 줄을 서서 받아 간다더라”며 “적은 금액을 고리대로 빌려주는데도 필요한 사람이 많다는 건 사태가 심각하다는 뜻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사비였지만 무상으로 10만원이라도 주자는 마음으로 안 소장을 비롯한 민생경제연구소 임원진이 돈을 모았다. 지난해 4월 시작된 홍길동은행은 별도 조건 없이 사연만으로 선정해 인당 10만원을 무상 지원한다.
민생경제연구소와 안 소장은 기부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500만 클럽’을 만드는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꿈수저장학금과 홍길동은행 재원 마련에 500만원 이상 기부한 이들의 모임이다. 안 소장은 “지자체에서 뜻있는 사람들만 모아주면 ‘홍길동은행 240개 시·군·구 지부’를 만들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웃었다.
그는 “가난 퇴치 전략은 이것 만으론 안 된다”고 했다. 안 소장은 “결국 서민·중산층을 두텁게 하려면 생활비가 줄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 주거, 의료, 통신, 이자, 교통비를 줄이는 국가적 전략이 필요하다”며 “사치나 취미 비용이 아니라 개인의 노력으로 줄이는 데 한계가 있는 것들”이라고 덧붙였다. 생활에 꼭 필요한 비용을 줄여주면 월 소득이 늘고 중산층이 두터워질 것이라는 말이다. 안 소장은 “중산층이 늘어야 내수가 살아나고 경제도 좋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소장은 “보이지 않아서 그렇지 여전히 ‘10만∼20만원이 없어 굶는다’는 사람들, ‘손주에게 먹일 게 없어 훔쳤다’는 비참한 범죄가 잇따른다”고 호소했다. 그는 “절망에 처한 사회구성원이 늘어나면 범죄도, 극단적 상황도 늘어난다”며 “그런 사회적 비용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고 통합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빈곤 퇴치에 동참해 달라고 부탁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