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인구 유출이 가속화하고 있다. 올 상반기 순유출 인구만 3000명을 넘어섰다. 이주 열풍으로 한때 연간 1만 명 이상 인구가 늘어났던 제주도가 이제는 인구 감소를 걱정하고 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한 달간 제주지역 순 유출 인구는 514명이었다. 타 시도에서 2019명이 전입했지만, 2533명이 제주를 떠난 것이다.
제주도는 지난 2023년 8월부터 23개월 연속 순 유출을 보인다.
올 상반기(1~6월) 제주도의 순 유출 인구는 302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34명(38%) 증가한 수치다. 3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해 연간 순 유출 규모(3361명)에 육박한다.
유출 인구의 연령대도 전 연령대로 확대됐다. 작년 상반기 순 유입을 기록했던 30대(22명)와 50대(48명)는 올해 들어 각각 -208명, -139명으로 순 유출로 돌아섰다. 40대와 60세 이상에서도 작년 각각 -108명, -84명에서 올해 -174명, -226명으로 순 유출 규모가 심화했다.

제주도를 떠나는 이유는 뭘까.
제주도의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는 원인으로는 부족한 일자리, 높은 물가와 주거비, 생활 인프라 부족 등이 지목되고 있다.
위기감을 느낀 제주도는 지난 7일 ‘일자리혁신위원회 회의’를 열고 청년 일자리 대책 등을 논의했다. 주요 논의 내용은 △청년 일 경험 관련 신규 사업 확대 △국가기관과 연계한 일자리 사업 발굴 △청년·노인·경력 단절 여성 등 취업 취약계층 대상 양질의 일자리 확대 방안 마련 △기업 대상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 기준과 조건 완화 △청년들의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사업 확대 등이다.
한편, 최근 줄어 들었던 제주 관광객의 수는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 월별 관광객 수는 지난 1월 전년 대비 -6.6%, 2월 -18.2%, 3월 -13.9%, 4월 -7.4%, 5월 -1.2% 등 감소했다. 하지만 여름 성수기 효과로 지난 6월 전년 대비 0.7% 증가했고 이달은 7.4% 늘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