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편의점 아니네?…청소년이 찾은 일자리 1위는 ‘이것’

입력 : 2025-07-23 07:56:22 수정 : 2025-07-23 08:07:52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해 용돈벌이를 목적으로 아르바이트를 한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찾은 일터는 음식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근로 경험이 있는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3학년 915명 중 39.3%가 음식점에서 일했다고 응답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2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근로 실태 및 권리 보장 현황’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 경험이 있는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3학년 915명 중 39.3%가 음식점에서 일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청소년 근로 업종 중 가장 높은 비율로, 뷔페·웨딩홀(13.6%), 카페·베이커리(7.2%)보다 약 3∼5배 많았다.

 

음식점은 2014년 동일 조사에서도 32.8%가 근무지로 꼽았던 업종이다.

 

반면 10년 사이 청소년 일터의 뚜렷한 변화도 감지된다.

 

각종 업소의 홍보물을 거리에서 나눠주는 이른바 ‘전단지 알바’는 2014년 22.4%를 기록해 음식점에 이어 두 번째로 청소년이 많이 얻은 일거리였으나, 지난해에는 2.3%만이 이 업무를 했다고 답했다.

 

10년 전에는 9.3%를 기록했던 편의점 역시 작년엔 4.1%로 줄어들었다.

 

스마트폰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의 발달에 따라 플랫폼 노동(5.8%)과 배달(3.3%), 콘텐츠 크리에이터(3.3%) 등이 지난해 청소년 사이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업종으로 떠올랐다.

 

청소년의 근로 경험률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일을 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한 청소년은 2014년 25.1%였으나 지난해에는 7.6%P 줄어든 17.5%였다.

 

지난해 청소년 근로계약서 작성률은 57.7%로, 10년 전(25.5%)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주의 부당행위 경험은 다소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많은 청소년이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해진 임금보다 적게 받거나 받지 못했다’ (17.5%→12.8%), ‘초과근무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19.0%→13.8%)는 응답은 감소했으나 ‘임금을 제때 받지 못했다’(16.4%→15.5%)는 거의 유사하게 나왔다. ‘다른 일까지 억지로 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2014년과 2024년 모두 16.1%로 동일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