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아파트 등 집합건물 증여가 가장 많이 이뤄진 지역은 강남구라는 분석이 나왔다. 송파구와 서초구도 각각 2, 3위를 차지하면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중심의 증여가 두드러졌다. ‘핵심지역 수요는 결국 늘어난다’는 시장의 경험이 매도보다 보유·증여를 택하는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가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올해 1∼6월 서울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 등) 소유권 이전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소유권 이전 등기 목적 중 증여 건수가 가장 많았던 자치구는 강남구로 336건이었다. 이어 송파구 253건, 서초구 235건으로 강남 3구가 상위권을 휩쓸었다. 양천구(214건), 영등포구(177건) 등 정비사업이 활발한 지역들에서의 증여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신한투자증권은 “핵심지역 자산가들이 ‘오르면 오를수록 팔지 않고 물려준다’는 학습 효과를 바탕으로 증여 전략을 강화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월간 증여 건수를 보면 강남구의 경우 올해 1월 24건에서 2월 41건, 3월 66건 등 상승 추세를 보였고 지난달에는 78건까지 늘어났다. 서초구는 1월 27건에서 6월 40건으로, 송파구는 같은 기간 27건에서 53건으로 늘었다.
상반기 증여 건수가 가장 적었던 자치구는 동대문구(76건)였으며, 종로구(77건), 성북구(78건), 금천구(84건) 등도 증여 건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강남 3구 등 핵심지 집합건물 소유자들이 보유·증여 전략을 취하는 배경으로는 불확실한 부동산 정책 기조와 ‘핵심지역은 결국 오른다’는 학습효과 등이 꼽힌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같은 핀셋 규제와 세제 정책의 잦은 변경 등 부동산 정책 전반의 변화가 지속하면서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장기적 정책 신뢰에 대한 의문이 제기돼왔다”며 “불확실한 정책 환경 속에서 자산가들에게 매도보다는 증여를 통해 자산을 보유하는 전략이 보다 유연하고 안정적인 대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짚었다.
여기에 강남 3구 등 고가 자산 밀집 지역은 그간 규제에도 중장기적으로 가격 상승을 경험해왔다는 점도 이같은 전략을 뒷받침하는 모습이다.
절세 효과 역시 증여를 선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양 전문위원은 “증여를 통해 다주택자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을 피할 수 있고, 현재 일시 유예된 양도세 중과가 재개될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증여를 선택하는 것”이라며 “증여를 단순한 세금 회피 수단이 아닌 ‘가문 자산의 중장기적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주요 지역은 토허구역 지정으로 거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여기에 내수 침체, 경기성장 둔화 등 기준금리 인하 압력과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 향후 집값 상승 기대감이 겹치면서 매도보다는 증여를 선택하는 흐름이 앞으로 더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