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18일 윤호중 행정안전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 이제 관심은 야당은 물론 여권 일각에서도 사퇴 요구가 나오고 있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문제다.

국회는 이날 윤·정 후보자와 오영준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가장 주목을 받은 곳은 정 후보자였다. 보건복지위에서 진행된 정 후보자 청문회에서 여야는 정 후보자 배우자의 코로나19 관련 주식 보유 의혹을 둘러싸고 설정을 벌였다. 개의 초반 자료 제출 문제를 두고 충돌해 정회했다가 1시간만에 제개되기도 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 후보자가 팬데믹 시기 질병관리본부장·청장으로 방역을 지휘할 당시 배우자가 코로나19 관련 주식을 보유했다는 의혹을 소명할 충분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항의했고, 여당은 “발목잡기”라고 맞섰다. 오후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 후보자의 농지법 위반 의혹도 질의했는데 정 후보자는 배우자의 ‘코로나 수혜주’ 투자를 통한 부당 이익 취득 의혹은 전면 부인했고, 농지법 의혹에도 “매년 농사를 지었다”고 설명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정책 검증에 집중했다. 다만 국민의힘에서는 윤 후보자의 자녀 관련 위장전입 의혹 등을 제기하며 관련 자료 제출이 미흡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오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및 당선 후 재판 중단,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혐의 재판, 위헌정당해산 심판, 대법관 증원, 재판소원 도입, 검찰개혁 등 사법 현안들이 주로 다뤄졌다. 중간 특검의 국민의힘 의원 압수수색 여파로 개의가 지연되고 여야 간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청문회 정국의 ‘1라운드’가 끝나면서 이제 시선은 강·이 후보자로 쏠리고 있다. 민주당 김병기,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인사청문회를 마친 장관 후보자 청문보고서 채택 문제를 놓고 의견을 나누었지만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김 원내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서로 입장 차만 확인됐다.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반면 송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두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시중의 우려를 충분히 전달했다고 본다”며 “정부여당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단 민주당은 두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 여성가족위와 교육위 소속 의원들은 이날 두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김 원내대표는 “결격 사유가 없다는 상임위 의견을 존중한다”며 “(강·이 후보자) 두 분에 대해 (국민의힘과) 저희 의견이 다르다. 한 분(강 후보자)은 상임위에서 인사 청문 보고서를 채택해 달라고 하고, 한 분(이 후보자)은 결격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민주당은 상임위 의견을 존중한다”고 했다. 이어 “(상임위로부터) 그 이상의 보고를 못 받았고 상임위 의견을 존중한다. 각 상임위의 요청대로 그 결과를 대통령 비서실에 통보하겠다”라고 했다. 국민의힘 역시 여가위·교육위 소속 의원 명의로 청문보고서 채택에 반대하고 두 후보자의 사퇴 내지 지명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송 원내대표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정부 여당이 전향적으로 국민의 뜻에 맞춰서 인사청문 결과에 따라서 거취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얘기했다”며 “민주당에서는 기존의 입장대로 모든 분을 다 낙마 없이 가야 한다는 언급이 있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의 선택은 주말을 거치면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여론이 가라앉지 않는 후보자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마지막까지 계속 긴장한 상태에서 (청문회 경과를)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17일) 인사청문회가 끝나면, 내일쯤이나 종합보고를 드리게 돼 있다. 대통령이 지침을 주면 저희가 그 지침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인사청문회와 관련한 지침을 준 상태가 아니므로 두 후보자를 둘러싼 추측성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했다. 우 정무수석은 진행자가 ‘논란이 있는 후보자들의 임명철회나 자진사퇴 여부가 주말 중에는 결론이 난다는 것이냐’는 질문엔 “네”라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