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차관이 이재명정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만났다.
18일 외교부에 따르면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이날 도쿄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제15차 외교차관 협의회를 열었다. 한반도 문제, 경제·지역·글로벌 협력, 3국 협력 강화 방안 등을 의제로 다뤘다.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는 북핵과 지역·글로벌 사안 등에 대한 3국 간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정례적으로 여는 회의체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이후 9개월 만에 개최됐다.
박 차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이 협의회가 10년을 맞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지난 10년간 3국이 많은 것을 성취했지만, 향후 10년간 더 많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3국 협력이 안보, 경제, 기술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한 박 차관은 이를 실질적 성과로 전환해 나가야 할 책임을 역설했다.
랜도 부장관도 "한미일 3국 협력이 미국에 매우 중요하다"면서 미국은 한국, 일본과 강력한 양자 관계를 맺고 있지만 세 나라가 함께할 때 더 강력해진다고 말했다. 랜도 부장관은 전임자들이 구축한 튼튼한 기초를 바탕으로 3국 협력이 수십 년 뒤에도 지속되고 심화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후나코시 차관은 북한의 핵무기, 미사일 개발 등으로 안보 환경이 엄중해지는 상황에서 한미일 3국 협력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북한의 악의적 사이버 활동, 3국 공동 훈련, 경제 안보 분야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3국 차관은 한미일 협력을 통한 강력한 북핵 억제력 유지가 중요하다며, 굳건한 양자 동맹을 기반으로 한 한미일 안보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박 차관은 한반도 긴장 완화와 대화 재개를 위한 노력을 설명했고, 3국 차관은 북한 문제 진전을 위한 외교적 노력과 관련해서도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3국 차관은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핵심광물, 공급망 및 인공지능(AI) 등 핵심·신흥 기술 분야에서의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