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가 빠르게 채택되면서 조 후보자가 언급한 대로 다음주 중 미국을 방문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만남을 타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8월1일 시한을 앞둔 한·미 간 관세·안보 패키지 협상 진전을 비롯해 정상회담 일정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과제다.
18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조 후보자는 임명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신속하게 방미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통령 임명안 재가 뒤 곧바로 미국을 찾아 루비오 장관을 만난다는 계획이다.

조 후보자는 전날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청문회를 마치고 (장관으로) 취임한다면 다음 주라도, 또는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미국을 방문해서 마지막 협상에 기여토록 하겠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간 정부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중심으로 미국과의 협상을 진행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을 대응함에 있어 한국의 외교를 총괄하는 장관과 현지 소통에 주력할 수 있는 주미대사의 부재는 우려를 낳아왔다.
이런 상황에서 다음달 1일로 관세 협상 시한은 다가오면서 조 후보자가 신임 외교장관으로서 미국과의 논의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한 점이 빠른 청문회 통과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통상·안보는 별개'라는 기존 입장을 바꿔 '패키지 딜'로 접근 방식을 일부 선회했다. 미국이 일방적으로 협상 시한을 정해놓는 등 전통적인 협상 방식으로 볼 수 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변칙적인 상황에 대응하려면 외교 컨트롤 타워인 외교부 장관의 역할 또한 중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청문회를 준비하며 조 후보자는 그간 협상 과정을 일부 공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지닌 제조업 역량과 방위사업 등을 지렛대로 활용하는 패키지 딜에 대한 복안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외교와 통상 분야에서 두루 경력을 쌓아온 정통 외교관 출신인 조 후보자가 보다 구체적인 패키지 딜 조율 및 미국의 양보를 받아낼 수 있는 협의를 밀도 있게 진행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미뤄져 온 한·미 정상회담 일정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외교가에서는 8월1일 관세협상 타결 시한 즈음에 이 대통령이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대면하는 것을 이상적이라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