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민 10명 중 4명은 이주민을 이웃으로는 받아들일 수 있다고 응답했지만, 가족이나 배우자로 수용하겠다는 비율은 10명 중 1명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난민에 대한 거부감이 두드러졌다.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세대 간 이주민 수용성 인식과 이민정책의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9~74세 성인 30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8.7%가 이주민을 ‘이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했다.
‘직장 동료’로 수용할 수 있다는 응답은 30.5%, ‘절친한 친구’로는 18.4%였다. 하지만 ‘나의 배우자나 가족’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응답은 8.4%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는 청년층(19~34세)이 가장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청년층의 경우 ‘절친한 친구’로 이주민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비율이 30.2%로, 전체 평균(18.4%)을 크게 웃돌았다. 그러나 배우자나 가족으로 수용하겠다는 비율은 8.6%로 낮았다.
반면, 노년층(65세 이상)은 ‘이웃으로 수용하겠다’는 비율이 57.9%로 가장 높았고, 동시에 ‘어떤 관계로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비율(7.5%) 역시 전 세대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족으로 수용하겠다는 비율은 5.0%로 가장 낮았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노년층은 일상적인 접촉에는 비교적 관대하지만, 밀접한 관계나 정서적 거리의 축소에는 거부감을 드러내는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주민의 체류 유형에 따른 수용성 차이도 뚜렷했다. ‘영주권자’에 대한 수용성은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난민’에 대해서는 세대 불문하고 거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조차도 난민을 친구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응답은 29.3%에 그쳤고, 중년층은 8.5%, 노년층은 7.95%에 불과했다. ‘가족으로 수용하겠다’는 응답률은 더 낮아, 청년층 1.8%, 중년층 2.4%, 노년층은 0.6%였다.
또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국인 인력 수용 여부에서도 세대 차이가 드러났다. 청년층은 ‘산업 분야에 제한 없이 외국 인력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응답이 17.7%로 가장 높았고, 노년층은 9.4%로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세대 간 이주민 수용성과 접촉 경험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주민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포용하기 위한 법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