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특검팀이 북한 무인기 침투 작전에 관여했다는 혐의를 받는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소환해 약 13시간 30분 동안 조사했다.

17일 오전 9시 반쯤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있는 내란특검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한 김 사령관은 약 13시간 30분 동안 조사를 받은 뒤 오후 11시35분쯤 조사를 마치고 나왔다. 김 사령관은 취재진과 만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아니라 합동참모본부 지시로 무인기 작전을 시행한 것일 뿐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김 사령관은 “저는 합참의 지시만 받았다. 저는 합참의 명령을 받는 야전 지휘관”이라며 윤 대통령의 지시로 작전을 수행한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사령관은 취재진으로부터 ‘지나고 나니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을 위해 (무인기 작전을) 이용했다는 느낌을 받진 않았나’라는 질문을 받고 “지금 생각해봐도 비상계엄과 우리 (무인기) 작전의 연결고리는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사령관은 연평도 포격전 등을 언급하며 “실제 포탄이 날아다녀도 전쟁이 그렇게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면서 “그런데 우리가 작전을 몇 번 했다고 도발 유도라고 하는 것은 프레임을 너무 크게 가져가는 것 같다. 그런 프레임 때문에 군사 작전 분야가 지금 형사 조사의 대상이 됐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이어 “아마 제가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면 북한이 도발하더라도 (우리 군은) 앞으론 절대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군이 정말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김 사령관은 이날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하며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제 모든 행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지, 개인적 이득을 취하려 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특검 조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참 참담하다”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특검팀은 이날 김 사령관을 상대로 윤 전 대통령·김 전 장관과의 3자 회동 정황, 윤 전 대통령의 평양 무인기 투입 지시 여부, 무인기가 북한에 추락할 위험성을 인지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오는 20일 김 사령관을 한 차례 더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