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정상 아이온큐 공동창업자 “양자컴퓨터 상용화 전에 보안 기술 완성”

입력 : 2025-07-17 21:35:00 수정 : 2025-07-17 19:59:31
경주=송은아 기자 se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현재 암호체계 무력화 우려에
“창보다 방패 개발속도 훨씬 빨라”

미국 양자컴퓨터 선도기업인 아이온큐의 공동창업자 김정상(사진) 듀크대 교수가 17일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현재 금융시스템 암호가 모두 깨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창이 완성되기 전에 방패를 만들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경주에서 열린 ‘제48회 대한상의 하계포럼’ 강연에서 “암호체계가 무너지면 엄청나게 큰 위협이 되겠지만 다행인 것은 양자컴퓨터라는 창의 발전이 느리다”며 이처럼 예상했다. 그는 또 “7, 8년 전부터 미국 정부를 중심으로 양자내성암호를 개발 중이고, 이것이 기존 암호체계를 대체하는 데 15∼20년이 걸린다고 본다”며 “방패와 창을 만드는 속도가 서로 경쟁 중인데, 창보다 방패가 먼저 만들어질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현재 디지털 보안은 소인수분해가 어려운 점에 착안한 RSA 공개키 암호화 기술을 근간으로 한다. 양자컴퓨터는 일반 컴퓨터로 수십억년이 걸리는 소인수분해를 눈깜짝할 새에 풀 수 있다.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금융시스템 등 현재의 암호화 기술이 무력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다만 양자컴퓨터는 아직 기술개발 극초기 단계다. 컴퓨터 하나의 크기가 방을 가득 메운다.

김 교수는 미래에 양자컴퓨터의 소형화·대량생산을 통해 시장 개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장비들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를 쉽게 해서 가격을 낮추는 한편 반도체 집적회로(IC)에 해당하는 기술을 발명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것들이 되면 어느 순간에는 개인화된 양자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새로운 기술과 시장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라고 기대했다. 김 교수는 “미래의 정말 중요한 문제를 풀 기술을 앞서 개발하면 다른 이들이 우리를 따라올 수 있다. 그게 미래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며 개척정신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경주=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