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업무 강화, 체계적 도시관리 난항”

“앞에서 송도의 장밋빛 미래를 외치고, 뒤로는 안전 행정을 가로막는 이중적 논리가 과연 주민들 앞에서 설득력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이재호 인천 연수구청장은 1995년 남구에서 분리돼 개청 30년이 흐른 지금의 도시 모습에 큰 자부심을 갖는다. 43만명 인구가 함께 행복한 삶을 살아가며, 경제자유구역 중심의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로 대한민국을 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기초의회와의 관계에는 최근 불편한 심경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지난달 26일 구의회에서 최종 부결된 조직개편안이 바로 그것이다.
이 구청장은 17일 세계일보와 만나 “이번 조례안이 통과됐다면 그동안 주민들의 불편 사항으로 제기됐던 민원업무 강화는 물론 체계적인 도시 관리가 가능했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구의회는 정치적 이유로 막무가내식 제동을 걸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해당 조례안은 지난해 10월 송도동에 문을 연 제2청사의 구성 확대가 골자다. 구는 현행 송도국제도시국을 행정지원국(일자리·세무 포함)과 스마트도시국(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안전사고 대응)의 2국으로 바꾸고자 했다. 하지만 표결에서는 재석 13명 가운데 단체장과 정당이 다른 5명에 무소속 1명이 포함된 반대 6표로 부결됐다. 다른 무소속 1명은 기권으로 처리가 이뤄졌다.

이 구청장은 “반대한 민주당 구의원들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송도 조직을 늘려 표심을 얻으려는 개편이라며 대외에 공식적으로 알렸다”며 “이는 개정안에 대해 합리적 근거 없이 ‘지방 선거용’으로 치부해 졸속 결정했다는 사실을 자인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송도 지역의 지반 특성과 인구 밀도가 반영된 과학적인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고, 곧 다가올 분구를 위한 행정체계 마련이 지방선거를 앞둔 ‘표심 정책’일 수 없다”고 단호하게 입장을 밝혔다.
송도 주민들에게 차후 분구와 관련된 혼선, 행정서비스 품질 저하 및 불편 또한 가중될 수 있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앞서 이 구청장이 상임위를 통해 “필요하다면 구의원들과 소통의 시간을 갖고 정당성과 당위성을 말씀드리겠다”고 호소했지만 고대했던 결실은 이루지 못했다.
제2청사 조직의 확충을 손꼽아 기다리는 이들에게 합리적 이유를 설명해야 할 것이란 이 구청장은 “시대적 과제를 담은 안건이었지만, 구의회는 정치적 셈법을 앞세운 채 이를 가로막았다”면서 “이제라도 합리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것이 투표로 선출된 의원 직분에 걸맞는 책임 있는 자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어떤 정치적인 장애물 앞에서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