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 3단계 규제 영향
서울과 경기 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이 불과 한 달 만에 7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7일부터 시작된 대출 규제와 이달 초 시행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규제 영향으로 당분간 거래량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81건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6월 1일~16일) 5513건 대비 4532건 감소했다. 감소율은 82%에 달한다.
이 가운데 강남구는 182건에서 59건으로 68% 줄었고, 송파구는 183건에서 91건으로 50.3% 감소했다. 마포구는 373건에서 29건으로 92.2% 급감하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경기 아파트 거래량도 이달 1일부터 16일까지 2588건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의 9066건 대비 6478건 감소하면서 71.5% 줄어들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과거에도 금리변동이라든지 금융규제가 있으면 거래량이 급감하는 패턴이 있었다”며 “특히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가격이 과열 양상을 보였고 이에 따른 강력한 대출 규제에 DSR 추가 규제까지 맞물리며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 가격의 최고가 거래도 규제 발표 후 2주간 7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의 국토부 실거래가 데이터 분석 결과 대책 발표 직전 2주간(6월 13일~26일) 최고가 거래는 총 1141건이었다. 발표 이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에는 300건으로 74% 감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