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초과 매매 취소 8.1%P 늘어
5억 이하는 오히려 7.1%P 줄어
‘6·27 대출 규제’ 이후 10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올해 1월부터 지난달 27일까지 계약된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 해제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27 규제 발표 후 신고된 해제계약의 35%가 매매가격이 10억원을 초과한 아파트였다. 지난달 27일 전에 해제된 계약의 경우 10억원 초과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26.9% 수준이었는데, 8.1%포인트 오른 것이다.

5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32.2%에서 25.1%로,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아파트는 40.9%에서 40%로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집토스는 “대출 규제를 직접 받지 않는 기존 계약자들마저 향후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으로 계약을 포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투자 금액이 큰 고가 아파트일수록 향후 가격 하락 시 손실 규모가 크기 때문에 매수자들이 ‘상투를 잡았다’는 심리적 부담을 느껴 계약금 포기를 감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분석은 거래 신고 기한(30일)에 따른 데이터 집계 시차를 고려해 각 시점별 해제 건수에서 특정 금액대 등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대책은 ‘집값이 조정될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던진 셈”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에게는 자산 방어심리를,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매수자에게는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하며 계약 취소라는 동일한 행동을 이끌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