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인적청산은 3년 뒤로”
당 선관위는 전대 일정 못 정해
“내달 중하순… 다음 회의때 확정”
김문수·한동훈 ·나경원 몸풀기
6·3 조기대선 참패 이후 한 달여가 지났지만, 국민의힘은 여전히 당대표를 선출할 전당대회 일정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당내 인적쇄신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당권주자들은 본격적인 물밑 경쟁에 돌입하며 분열 양상이 심화되고 있다. 인적쇄신 대상으로 지목된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은 “인적 청산은 3년 뒤 총선으로 남겨야 한다”고 정면 반발했고,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혁신안 사과 요구에 신중론을 폈다. 대선 패배 책임론과 당내 노선 갈등, 주류 재편 가능성까지 얽히며 전당대회를 앞둔 권력 투쟁은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14일 첫 회의를 열고 전당대회 일정을 논의했다. 정점식 사무총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를 8월 중순, 늦어도 하순까지는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며 “2차 회의에서 전당대회 일정을 확정한다는 게 오늘 논의사항”이라고 밝혔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혁신위원회가 던진 3차 혁신안인 사과요구에 대해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당을 위한 충정 어린 고뇌 끝에 지나온 여러 상황에 대한 반성과 사과가 필요하다는 안을 제시했다”며 “당내와 당외, 원내, 원외의 의견들을 좀 더 수렴해서 최종적으로 우리 당의 입장을 정해야 할 것”이라고 신중론을 폈다. 이어 “누구를 내친다든지, 비판이나 욕한다든지 그런 차원에서 혁신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다시 거듭나고 국민에게 신망을 얻는 그런 방향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혁신위원장을 사퇴한 안철수 의원이 처음 인적쇄신 대상으로 지목했던 ‘쌍권’(권영세·권성동 의원) 중 한 명인 권 의원은 KBS라디오에 나와 당 혁신위가 지적한 대선후보 단일화 절차와 관련한 사과요구에 대해 “오히려 단일화를 안 하는 게 배임·직무유기가 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인적쇄신 요구와 관련해선 “인적 청산이 필요하더라도 3년 뒤에 총선이 있는 만큼 거기로 조금 넘겨 놓는 것이 어떻겠나”라며 “지금 당장은 힘을 합쳐 여당의 독주를 막는 데 더 노력하도록 독려하는 게 맞지 않겠나”라고 거부 의사를 표명했다.

차기 전당대회와 관련해 조경태·안철수 의원과 양향자·장성민 전 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힌 가운데 당내에서는 대선후보였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나경원·장동혁 의원이 조만간 출마선언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 전 장관은 지난주 청년 간담회를 개최한 데 이어 16일 대구에서 지역 언론사 간담회, 서문시장 상인연합회 예방, 지방 살리기 주제의 특강에 나선다. 장 의원도 15일 우파 청년들의 토론회에 참석하는 등 옛 친윤(친윤석열)계와 강성 당원들의 표심을 공략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인다. 나 의원도 지난주 임종득 의원에 대한 특검의 압수수색에 대응하는 규탄대회에 앞장서며 당내 주류의 지지를 노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전 대표도 그동안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자제해 왔으나 최근 들어 각종 현안에 대한 입장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밝히며 여론과 주파수 맞추기에 나섰다고 분석한다. 이날도 권 의원을 겨냥해 “권 의원 작전이 성공해 내란혐의 대상자로 수사받게 될 한덕수 전 총리를 억지로 대선후보로 만들었더라면 국민의힘은 진짜 내란당이 됐을 것”이라고 날 선 비판을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