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통합앱 10월 가동

입력 : 2025-07-09 06:00:00 수정 : 2025-07-08 22:55:55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市, 등본 발급·도서관 이용 ‘하나로’
생애주기별 정보 자동 안내 등
맞춤형 행정 서비스 제공 플랫폼

서울시가 전자증명서를 신청하고 발급받을 수 있는 공공서비스 플랫폼 ‘서울지갑’ 애플리케이션과 모바일 회원증 ‘서울시민카드’ 앱을 통합한다.

서울시는 올해 10월부터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공공서비스 플랫폼 ‘서울지갑’과 공공시설 모바일 회원증 ‘서울시민카드’를 하나의 앱으로 통합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지갑은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34종의 증명서 발급과 청년 월세 등 복지서비스 신청 자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앱이다. 최근에는 부동산 거래 사기방지를 위한 공인중개사 자격 확인 서비스도 전국 최초로 탑재했다. 누적 가입자는 15만명이다.

서울시민카드는 시립·구립 도서관, 체육시설을 비롯해 청소년센터, 장난감도서관 등 837개 시내 공공시설 이용시 사용가능한 모바일 통합회원카드다. 시민 34만명이 이용 중이다.

시는 새로운 통합 앱을 단순 기능을 합치는 것을 넘어 시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쌍방향 플랫폼으로의 진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앱에는 맞춤형 혜택 기능인 ‘나의서울+(플러스)’ 서비스를 추가한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면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해 준다. 회원가입과 인증 절차도 QR코드만 스캔하면 누리집 로그인이나 서비스 인증이 가능한 방식으로 개선한다. 블록체인 기반데이터 관리서비스도 확장해 각종 정보의 불법적 위변조 방지도 강화할 계획이다. 각각의 앱에 있는 중복메뉴를 통합해 유지관리비와 본인인증 비용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통합 앱 출시를 앞두고 기존 이용자의 데이터 이관 절차를 안전하게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지갑 사용자는 간편번호 재설정만으로 통합앱을 사용할 수 있고, 서울시민카드 이용자는 올해 말까지 정보 이관에 동의하면 기존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강옥현 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의 통합은 시민중심의 맞춤형 디지털 행정서비스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