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퇴임 1년 만에… 김진표 무궁화장 받는다

입력 : 2025-07-07 21:18:45 수정 : 2025-07-08 10:23:25
최우석 기자 do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17일 제헌절 경축식서 수훈
대부분은 퇴임한 해에 받아
“尹과 회고록 갈등 영향” 해석

김진표(사진) 전 국회의장이 17일 제헌절 경축식에서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는다. 통상 국회의장은 물러난 해에 훈장을 받았다. 김 전 의장은 퇴임 1년 뒤에 받게 됐다. 윤석열 정부 때 김 전 의장 회고록을 놓고 대통령실과 김 전 의장측이 진실공방을 벌이며 갈등한 게 ‘늦은 수훈’의 원인일 수도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7일 국회의장실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김 전 의장은 국회에서 열리는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는다. 상훈법에 따르면 정치·경제·사회·교육·학술 분야에 공을 세워 국민의 복지 향상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 국민훈장을 수여한다. 이 관계자는 우 의장이 훈장을 수여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훈장은 통상적으로 장관급 공무원이 추천해 대통령이 수여한다. 제헌절 경축식에는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국회의장이 대신 수여하곤 한다.

 

김 전 의장을 제외한 국회의장들은 대부분 퇴임한 해 제헌절 경축식에서 수훈했다. 박병석 전 의장은 퇴임한 해 7월 14일에 윤 대통령에게 직접 수훈했고, 문희상 전 의장과 정세균 전 의장은 퇴임한 해 제헌절 경축식에서 당시 국회의장에게서 받았다. 전례에 비춰볼 때 김 전 의장은 수훈이 1년 늦었다고 볼 수 있다.

 

여권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갈등 때문에 김 전 의장 수훈이 늦어진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김 전 의장은 퇴임 후인 지난해 6월말 펴낸 회고록 ‘대한민국은 무엇을 축적해왔는가’에서 윤 전 대통령이 ‘10·29 이태원 참사 조작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주장했다. 책 내용을 놓고 대통령실과 김 전 의장간 진실공방이 벌어졌는데 결국 김 전 의장은 “저의 의도와 달리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어 유감스럽다”며 책 내용을 수정했다.


최우석 기자 do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