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 출범 후 첫 고위당정협의회가 6일 열렸다. 정부와 여당은 31조8000억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고, 심상찮은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도 총력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새 정부의 민생 회복 의지를 실천에 옮기는 첫 고위급 정책 공조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대통령실은 6일 오후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고위당정협의회를 갖고 이러한 내용을 논의했다고 민주당 박상혁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회의에는 당에서는 김병기 대표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우상호 정무수석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이 참석했다.
김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대통령실을 포함한 당정은 한 몸”이라며 “당원 주권과 국민주권 철학을 공유하고 내란 극복과 경제회복·성장의 비전을 공유하는 운명 공동체”라고 말했다.
김 직무대행은 “당과 대통령실, 당과 정부는 운명 공동체로 원팀이 돼야 한다”며 “당은 정부와 대통령실을 든든하게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강 비서실장은 “대통령 비서실도 대통령의 국정철학, 특히 경제회복과 사회통합에 대한 메시지를 당과 정부에 전달하고 소통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당정은 비공개회의에서 △추경 조기 집행계획 △물가동향 및 대응방안 △여름철 재난안전대책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당에 집행관리대상 예산 중 85%를 9월 말까지 집행하겠다고 보고했다. 추경안 중 세입경정예산 등을 제외한 20조7000억원이 집행관리대상으로 선정됐으므로 앞으로 석 달 안에 18조 내외가 집행된다는 의미다. 박 수석대변인은 “1차 추경예산 집행목표보다 15%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 등 소비여력을 보강하는 사업을 신속 추진하겠다고 했다.
당정은 또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하는 등 최근 꿈틀대는 물가동향과 관련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했다. 당은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업계 등과 긴밀히 소통하여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등 소비자 부담 경감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청했으며 정부는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