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응급의학 전문의 늘었지만… 전공의 확보 7%뿐

입력 : 2025-07-06 20:00:00 수정 : 2025-07-06 18:44:3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상반기 모집 224명 중 15명 그쳐
의·정 갈등 국면 3년 새 80% 급감
전문의는 작년 511명… 1년 새 8%↑
“법·제도 개선… 공정한 보상 등 지급”

지난해 2월부터 이어진 의·정 갈등 상황에서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늘었지만, 전공의 수는 정원의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공의 이탈 속 ‘기피 과’로 지목된 응급의학과 의료 공백이 여전했다.

응급의료센터. 게티이미지뱅크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응급의학과 전공의 1년 차 정원은 224명이었으나, 상반기 및 5월 모집을 통해 확보된 인원은 15명으로 6.7%에 그쳤다. 정원 대비 확보 인원 비율은 2021년 91.7%에 달했지만, 2022년 86.6%, 지난해 84%로 하락하더니 의·정 갈등 국면이 이어진 올해에는 10% 미만으로 급락해 인력 부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다만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에서 일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해 말 기준 511명으로 2023년 말 473명보다 8%가량 늘었는데, 전공의 부족 문제를 전문의 추가 채용을 통해 메우는 형국이다.

응급의학과 전공의 사직률도 크게 올랐다. 2021년 2.2%에 불과했던 응급의학과 1∼4년 차 전공의 사직률은 지난해에 임용 대상자 608명 가운데 541명이 관둬 89%에 달했다.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 인력이 없으니 권역응급의료센터 입장에서는 전문의를 더 뽑을 수밖에 없다”며 “응급의학과 의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려면 법·제도적 개선과 응급의료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는 9월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돌아오는 일명 ‘코스모스 복귀’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과 의료계가 모두 반기면서 의료 공백 사태 해소를 위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3일 의·정 갈등 상황에 대해 “정부가 바뀌면서 긴장감과 불신이 조금은 완화된 것 같다. 일부(전공의) 복귀도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며 “2학기에 가능하면 (전공의·의대생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서 많이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 최근 새 지도부를 꾸린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도 사직 전공의들의 9월 수련병원 복귀를 위해 ‘대정부 요구안’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의대생의 경우 유급한 학생들은 학칙에 따라 2학기가 아닌 내년에 복귀해야 하지만, 이 대통령이 복귀 대책을 언급한 만큼 2학기 복귀 방안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높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대통령의 진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향후 의·정 갈등 해결의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를 단순한 복귀가 아닌, 정당한 교육·수련 보장을 전제로 한 복귀로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한서·김유나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 ‘매력적인 미소’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