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 매매심리… 계약 해제도 잇따라
업계 “공급 대책 병행돼야 실효성 제고”
‘6·27 대책’ 여파에 서울 아파트 시장에선 거래량 위축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규제 발표 이후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 사례도 잇따라 나오는 등 다소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 시장은 일단 관망세에 접어드는 분위기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이날 집계 기준 744건(이후 계약 해제 건 포함)으로, 대책 발표 직전 일주일(6월20∼26일)의 1886건보다 60.6% 줄어들었다.
실거래 신고 기한(계약 후 30일)을 고려할 때 이후 숫자가 더 늘어날 여지가 있으나 매수 심리 위축에 따른 관망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비교 기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거래량은 송파(39건→5건) 87.2%, 서초(22건→5건) 77.3%, 강남(92건→30건) 67.4%씩 감소했다.
규제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 사례도 속출했다. 계약일이 6월20일∼7월3일인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중 계약 해제 사유 발생일이 지난달 27일부터 그 이후인 사례는 이날 현재 151건이다.
부동산R114는 “정부가 6·27 대책을 통해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 이하로 고정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가격) 상승을 이끌던 서울부터 변동률이 크게 위축되는 모양새”라고 진단했다.
업계에서는 중장기적인 시장 안정화를 위해선 수요 억제와 더불어 공급 정책의 연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고강도 수요관리 조치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여건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공급 기반의 대응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며 “중저가·중소형 주택의 계획적 공급 확대, 입지·교통 기반을 고려한 공공주택의 선제적 공급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단기적 거래 위축을 넘어 중장기적 수급 불균형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정부는 추가 신도시 조성보다는 기존 신도시를 활용한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면서 공공 주도로 도심 고밀 개발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공급 대책을 마련할 전망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