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기관에서 한 번 쓰이고 버려지는 치료재료 처리 문제를 놓고 사회적 논의가 시작됐다.
4일 오전 서울 강남 포스코타워 역삼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한병원협회, 대한수술감염학회의 공동 주최로 ‘안전한 치료재료 재처리 제도 도입 공동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1부에서는 김광호 이대서울병원 교수를 좌장으로, 노연호 병원수술간호사회 학술이사가 ‘우리나라 세척‧소독‧멸균의 현실 및 한계’를, 이석환 대한수술감염학회장이 ‘재처리 제도 동향 및 향후 예측’, Daniel J. Vukelich 미국 치료재료재처리협회장이 ‘미국 재처리 제도 운영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2부에서는 케이타 모리카네 일본 야마가타대학병원 교수가 ‘일본 재처리 제도 운영현황’을, 박진식 대한병원협회 제2정책위원장이 ‘재처리 제도 도입전략 및 고려사항’ 등에 대해 발제했다.
이 자리에서 다니엘 부케리치 미국 치료재료재처리협회 회장은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의료계의 재정·환경적 재앙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치료해야 하며, 병원에서 감염을 유발하지 않는 것이 기본 원칙이지만 일회용품 남용 때문에 △소각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주변 지역의 암·천식 등 질환 증가 △희귀 금속 낭비 및 공급망 불안정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중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은 “우리나라는 일회용 치료재료의 재활용을 금지하고 있다”라며 “이 때문에 각 의료기관은 자체 세척과 소독으로 재사용을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반병원에서 소독이 안전하게 이뤄질 수 없어 이는 환자 안전문제를 발생시킨다”며 “일회용 치료재료 사용이 증가하는 현실은 건강보험 재정 낭비 및 환경 문제를 발생시킨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2000년 초반, 일본과 이스라엘 등도 고가 치료재료를 재처리해 사용하고 있다”라며 “재처리는 안전성 확보 및 의료 폐기물 감소 등이 가능해, 우리도 이를 통한 감염 예방과 비용 감소를 추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