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에어컨 ‘쌩쌩’ 콧물 ‘주르륵’… 혹시 냉방병 [건강+]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7-05 10:18:19 수정 : 2025-07-05 10:18:1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증상 감기와 비슷, 인후통·기침 동반
“적절한 온도 유지 잦은 환기로 예방”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만히 있어도 흘러내리는 땀으로 불쾌지수가 갈수록 높아진다. 그렇다보니 외부와 달리 실내는 냉방 사용이 늘어나는 요즘이다. 고온다습한 날씨와 반복되는 실내외 온도 차이가 면역력을 떨어뜨리기 십상이다. 이럴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질환은 무엇일까. 바로 냉방병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민석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냉방병은 실내외 큰 온도 차로 인해 몸의 자율신경계가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발생한다”며 “피로·두통이나 소화기 불편감을 보이고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적절한 온도 유지와 잦은 환기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일 의학계에 따르면 냉방병은 온도를 인위적으로 낮춘 사무실이나 집 등에서 오래 머물 때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감기와 비슷하다. 두통, 피로, 코와 목의 건조함, 어지럼증, 졸림, 소화불량, 설사, 복통 등이 생긴다. 여기에 인후통·콧물·기침이 동반되기도 한다. 아울러 말초혈관 수축으로 손·발이 부을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하거나 천식, 알레르기, 만성 편두통 등의 기저질환자에게는 더욱 심하게 보여질 수 있다. 여성은 남성보다 더 취약한 편으로, 심한 생리통 또는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는 경우도 있다.

 

냉방병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는 레지오넬라증이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에어컨 냉각수에 서식하는 이 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독감이나 폐렴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냉방병과 같은 현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심할 땐 감염 여부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은 특별한 치료 없이 충분한 휴식과 함께 에어컨 사용을 줄이면 호전된다. 다만 예방을 위해서 실내 온도를 22∼26도로 유지하고, 실내외 온도차가 5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이외 에어컨 바람이 몸에 직접 닿지 않으면서, 24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습관도 요구된다.

 

또한 실내 습도를 50∼60% 수준으로 유지하고, 에어컨 필터는 자주 청소하면서 주기적 교체해야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추위에 예민하다면 얇은 카디건이나 무릎 담요 등으로 체온을 보호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

 

서 교수는 “장마철에는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냉방기 사용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꾸준한 운동,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며 무리 없는 선에서 산책이나 맨손 체조를 병행하면 냉방병 예방에 도움된다”고 조언했다.


인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