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생산 성공… 산업화 가능성

충북대학교 박소영(사진) 교수(원예과학) 연구팀이 학내 벤처기업 ㈜웰그린과 공동으로 줄기세포 배양기술로 산삼 대량 생산에 성공했다. 유전자원 보존과 산업화 가능성을 동시에 입증했다는 평가다.
2일 충북대에 따르면 박 교수 연구팀이 복원한 산삼은 2022년 11월 전남에서 발견된 수령 150년의 희귀 산삼이다. 당시 한국전통심마니협회가 씨앗 확보와 재식 보전을 시도했으나 원 식물은 고사했다.
연구팀은 협회로부터 받은 분석용 시료 50g에서 산삼 뿌리조직 10g의 절편을 무균 조건에서 배양해 줄기세포로부터 신생 근조직을 유도했다. 이어 5ℓ 규모에서 시작해 2t 규모 생물 반응기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기술도 완성했다.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배양산삼근은 원 산삼과 192개 유전자 지표에서 100% 일치하는 동일 유전형으로 확인됐다. 배양산삼은 평균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4%로 일반 홍삼(2%)의 두 배에 달하는 등 주요 성분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 대사체 분석에서 총 165종의 대사물질이 검출됐고 이 중 43종은 산삼 특이 물질로 확인됐다. 인삼에 없는 산삼 특이 대사체도 확인돼 고유 생리활성을 입증하는 분자 수준의 증거로 주목된다.
박 교수는 “희귀 유전자원 복원의 학술 가치와 건강식품, 의약 소재, 기능성 화장품 등 산업 원료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연구 성과 관련 특허 등록과 기술 이전, 국내외 시장 진출 등 후속 사업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