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위기의 韓 석유화학… 조속한 구조조정·3대 산단 재편 절실”

입력 : 2025-07-02 19:29:55 수정 : 2025-07-02 19:29:54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회미래산업포럼 개최

동북아, 에틸렌·범용 폴리머 급증
2022년 이후 극심한 불황에 직면

中 설비 난립 방지, 日은 생산 축소
韓 최소 85%의 가동률 필요 진단
산단별 특성 맞춘 사업 계획 필요

업체간 협업·재편 위한 규제 완화
고부가 전환 세제·재정 지원 시급

위기에 처한 한국 석유화학 산업이 살아남으려면 지금부터 서둘러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에틸렌 설비 중 경쟁력 확보가 힘든 범용 제품을 줄이고, 울산·여수·대산 3대 산단을 특성에 맞게 재편해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 남구 석유화학단지 모습.    뉴스1

국회미래산업포럼, 국회미래연구원은 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을 주제로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을 열고 이 같은 분석을 공유했다.

 

김기식 국회미래연구원장은 개회사에서 “석유화학 산업이 올해·내년을 기점으로 공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는 게 아닌가 싶다”며 “중국발 공급과잉 문제가 해소되기보다 악화될 거고 에쓰오일의 10조원 규모 샤힌 프로젝트가 내년에 가동되는 데다 중동국가들이 석유화학 산업에 본격 진출할 경우 우리 미래가 있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임시방편이 아닌 과감한 사전 구조조정을 통해 미래 활로를 개척해야만 고통이 수반되더라도 산업을 살릴 수 있다”고 밝혔다.

발제를 맡은 김지훈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대표파트너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다운스트림(기초 유분을 분해해 정밀화학 제품을 만드는 공정) 경쟁력과 생산설비 원가 경쟁력 면에서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단별 재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동북아 내 에틸렌과 범용 폴리머의 공급이 급증하며 2022년 이후 불황에 직면했다. 추가 증설 없이도 2035년은 돼야 ‘일반적 불황’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회복은 요원하다. 한국은 내수가 100이면 245만큼 생산해 수출 의존도가 크기에 석유화학 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김 파트너는 “우리 업체는 2021년까지 설비 가동률 100%를 뛰어넘을 정도로 운전하면서 많이 생산해왔으나 앞으로는 80% 초반, 70%대까지 가동률이 떨어질 걸로 예측된다”며 “동북아 내 신규 증설 물량을 고려했을 때, 현재의 불황은 과거와 양상이 달라 ‘버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은 생산설비 및 범용 폴리머 설비에 대한 증설 지침을 마련해 소형 생산 설비의 난립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은 4개 산단에서 기업 간 통합·설비 합리화를 진행해 에틸렌 생산능력을 240만t 축소할 계획이다. 김 파트너는 “동북아 3국이 모두 어려우나 이 상황에서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기는 힘들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다운스트림의 구성을 고려했을 때 향후 수출경쟁력이 약한 범용 제품 중심의 재편이 필요하다”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에틸렌 설비의 경우 최소 85%의 가동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성공적으로 재편 시 원가가 5%가량 낮아져 경쟁력이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BCG에 따르면 현재의 다운턴이 지속된다면 3년 뒤에는 석유화학 기업들의 50%만이 지속 가능할 것으로 관측됐다. 산단별 1∼2개 업체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받는다면 연관된 2·3차 공급업체(벤더)가 연쇄 도산할 가능성도 있다.

김 파트너는 국내 3개 산단이 특성이 달라 재편 과정에서 접근법이 상이해야 한다고 밝혔다. 울산산단은 2027년 샤힌 프로젝트 시행에 따라 C2(에틸렌) 및 범용 폴리에틸렌(PE) 공급과잉이 예상된다. 대산산단은 다운스트림 범용 제품의 비중이 95%에 이른다. 국내 최대 규모의 산단인 여수산단은 수출하는 기초유분이 많은 편이다.

BCG는 산단 내 협업 추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업체 간 협업·재편 가속화, 추가적인 산단 원가 경쟁력 강화, 고부가·친환경 등 미래 사업 준비 등에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규제 장벽을 풀어야 한다. 대기업 계열 석유화학 업체들이 구조조정을 위해 협업을 하고 싶어도 공정거래법 위반에 걸릴 수 있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지원책으로는 공동행위 인가 및 기업결합 심사완화, 양도차익 법인세 세제 혜택 강화, 사업 재편 관련 융자·보증 등 금융 지원, 주채무계열 평가에 따른 개선약정 체결 유예 등이 제시됐다.

김민우 롯데케미칼 전략기획본부장은 “사업 재편에 적극 참여하기 위해서는 독과점·담합 적용 유예, 사업 재편 승인 기업에 대한 공시 변경 특례 적용 등 법률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은 “고부가가치·친환경적 구조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세제, 재정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